세계일보

검색

“10초면 충분해!”…짧지만 강력한 숏폼 콘텐츠에 힘 쏟는 유통가 [일상톡톡 플러스]

입력 : 2024-05-31 11:29:13 수정 : 2024-06-01 06:10: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주요 브랜드들, ‘숏폼 전용’ 콘텐츠 따로 제작…트렌드 민감하게 반응
유통업계가 15~30초 짧은 길이의 동영상을 의미하는 ‘숏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빠르게 소비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직관성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긴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낮아 새로운 마케팅 도구로 확산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새로운 트렌드 리더인 ‘잘파세대’(Z세대+알파세대)를 중심으로 15~30초 짧은 길이의 동영상 ‘숏폼’(Short-form) 콘텐츠가 대세다.

 

TV보다 모바일, 글보다는 영상 콘텐츠를 선호하는 잘파세대의 특성에 알맞을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좋아하는 셀럽의 활동 소식부터 트렌드까지 원하는 정보만 빠르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31일 메조미디어가 발간한 ‘2023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 여가·취미 편’에 따르면, 10대의 일평균 숏폼 채널 이용시간은 ‘63분’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20대가 39분으로 잘파세대 중심으로 높은 소비가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33분), 50대(30분), 40대(29분)에 비하면 확연히 비교가 될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추세에 주목해 브랜드들은 숏폼 전용 콘텐츠를 따로 제작하거나 새로운 숏폼 플랫폼을 만드는 등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우선 코카-콜라사의 세계적인 음료 브랜드 환타는 최근 라이즈와 함께 진행한 '원해? 환타!' 광고 캠페인 영상을 편집해 6초대 분량의 숏폼 영상으로 제작하고 코카-콜라 공식 유튜브 및 인스타그램 채널에 공개했다. 짧은 영상을 선호하는 잘파세대를 공략해 가로형 영상에 더해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 등 이들이 선호하는 매체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별도로 제작한 것이다. 세로형 콘텐츠는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가로로 돌리지 않고도 꽉 찬 화면으로 영상을 즐길 수 있어 가로형 영상과는 색다른 몰입감을 선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커머스 업체들도 숏폼 콘텐츠 활용으로 고객 눈길을 끌고 있다. 일상생활 팁이나 트렌드 정보들을 담아 자연스럽게 상품 구입과 매출 상승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11번가가 지난 1월 선보인 ‘플레이’(PLAY)는 제품 사용 후기, 추천 상품, 활용법 등 쇼핑 관련 정보와 여행, 생활 팁 등 다양한 숏폼 영상을 선보이고 있다. 영상을 보던 시청자가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바로 클릭해 구매할 수 있도록 영상과 상품 상세 페이지를 연결시켰다. 이는 셀러들의 매출 증가로 이어지기도 했다.

 

SSG닷컴도 프로모션 상품과 숏폼 콘텐츠를 결합한 쇼핑 영상 큐레이션 서비스 ‘쓱티비’(SSG.TV)를 선보이고 있다. SSG닷컴이 운영 중인 콘텐츠는 총 여섯 가지로, 고객의 관심도가 높은 최신 트렌드나 재미 요소를 더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최신 유행 중인 패션, 뷰티 상품을 숏폼으로 보여주는 ‘포즈’, 유명 산지 신선식품을 만나볼 수 있는 ‘신선직송’ 콘텐츠 등이 있다.

 

소비자 공감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춰 숏폼 형태의 예능과 드라마 콘텐츠로 구독자 수를 늘리는 브랜드도 늘었다.

 

GS25는 지난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재해석한 유튜브 '쇼츠' 콘텐츠 ‘편GPT-편쪽이’를 선보이기도 했다. ‘편GPT-편쪽이’는 AI 캐릭터 ‘편쪽이’가 일상의 궁금함 또는 소소한 질문에 대해 알파 세대 특유의 말투로 재치 있게 답을 내려주는 방식의 콘텐츠다. 이러한 숏폼 인기에 힘입어 2020년 말 구독자 29만명 수준이었던 GS25 공식 유튜브 채널은 지난해 100만명을 돌파하며 업계 최초로 ‘골드 버튼’을 받기도 했다.

 

씨유(CU)는 종합 콘텐츠 스튜디오 플레이리스트와 웹드라마 시리즈 ‘편의점 고인물’과 ‘편의점 베짱이’를 제작했다. CU 편의점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재밌게 그려낸 쇼츠 드라마로, 특히 편의점 고인물은 누적 조회 수 3억회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숏폼 드라마는 '2023 유튜브 웍스 어워즈'에서 최고 작품상인 그랑프리를 포함해 3관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롯데홈쇼핑은 개그맨 김민기, 홍윤화 부부가 고정 출연하는 상생방송을 운영하고 모바일 숏폼 무료 제작을 지원하는 등 중소기업 판로 개척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롯데홈쇼핑은 지난 2013년부터 판로 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해 입점 컨설팅, 수수료 혜택까지 제공하는 상생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방송 수수료 우대, 상품 소개 영상 제작 지원, 상품 출고 시 무료배송, 상생 적립급 10% 등 다양한 혜택을 강화해 왔다. 현재까지 약 330개사가 참여했으며 방송횟수 약 1700회, 주문건수 60만 건을 기록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광고 모델로 악뮤를 발탁하고, 신규 광고를 공개했다고 전날 밝혔다. 광고는 ‘올여름, 청량 바이브’를 콘셉트로 악뮤 이찬혁이 직접 칠성사이다 CM송을 작사, 작곡했다. 칠성사이다를 통해 일상 속에 기분 좋은 청량함이 더 커지는 장면을 악뮤의 노래를 통해 표현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의 청량한 매력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개성 있는 음악과 진솔한 모습으로 다양한 세대의 사랑을 받는 악뮤를 광고 모델로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영상은 낮편과 밤편, 뮤직비디오편, 숏폼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됐다. 롯데칠성음료 공식 유튜브 채널, 인스타그램, TV 등에서 공개된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