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무직‘으로 계약한 ‘일용직’, 사망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07-29 10:25:00 수정 : 2024-07-29 10:24:5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건설현장 노동자가 사무원으로 보험 가입한 후 사망
보험사 "보험 계약 해지 후 보험금 지급 불가" 주장
대법 “‘통지의무 위반은 아냐… 계약 해지권 소멸돼"

건설현장 노동자가 보험 계약 당시 직업을 속였더라도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까? 보험사는 ‘통지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부했지만, 법원은 계약 당시 직업을 속였다면 통지의무 위반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권영준 대법관)는 A씨 유족 3명이 메리츠화재를 상대로 낸 보험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최근 확정했다.

대법원 전경. 연합뉴스

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였던 A씨는 2021년 7월 현장 근무 중 추락사고로 숨졌다. A씨 앞으로는 2009년과 2011년, 2016년 각각 체결한 메리츠화재 보험 계약이 있었다. 계약 당시 A씨는 직업을 ‘사무원’이라고 쓰거나 ‘건설업종 대표’, ‘경영지원 사무직 관리자’ 등으로 기재했다. 사고 위험이 큰 실제 직업 대신 사무직 등으로 작성한 것이다.

 

A씨 사망 후 유족이 보험금을 청구하자 메리츠화재는 “상법에서 규정한 ‘통지의무’를 위반했기 때문에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상법 652조는 “보험기간 중 피보험자가 사고 발생 위험이 현저하게 변경된 사실을 안 경우 지체 없이 보험자에게 통지해야 하고, 그러지 않을 경우 보험자는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1개월 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A씨 유족은 이에 불복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유족 손을 들어줬다. 

 

1심 법원은 “보험계약 기간 중 실제 직업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보험사에 고지된 직업과 다르더라도 상법상 통지의무를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상법 652조에서 통지의무 대상으로 규정한 ‘위험의 변경 또는 증가’는 보험기간 중에 발생한 것으로 한정된다고 보는 게 문언에 충실한 해석”이라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A씨가 보험계약 당시 중요한 사항을 사실대로 알려야 한다고 규정한 ‘고지의무’를 위반했다고 볼 순 있다고 봤다. 그러나 상법은 보험사가 고지의무 위반을 이유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기한을 ‘부실 고지를 안 날로부터 1개월 내, 혹은 계약을 체결한 날로부터 3년 내’로 제한했고, A씨의 경우 이 기간이 지나 보험사의 해지권이 소멸했다고 지적했다.

 

1심 판결에 보험사가 항소했으나 2심 법원 판단도 같았다. 대법원도 “통지 의무는 보험계약 성립 시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그 이후 보험 기간 중에 사고 발생의 위험이 새롭게 변경 또는 증가된 경우에 발생한다고 봐야 한다”며 원심을 확정했다.


이종민 기자 jngm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혜성 '심쿵 눈빛'
  • 정혜성 '심쿵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김혜수 '천사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