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55~79세 학력, 초대졸 이상이 24%…10년새 10%P 넘게 증가 [심층기획-2차 베이비부머 은퇴 쓰나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세계뉴스룸

입력 : 2024-09-09 06:00:00 수정 : 2024-09-09 10:05:5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고학력 고령층 증가 추세…근로 의지도 늘어
정규직으로 정년 퇴직하는 고령층은 소수

고령 인력을 활용할 필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55세부터 62세 중 정규직 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율은 9.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일자리의 고용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 올해 5월 기준 55~79세 중 초대졸 이상은 24.2%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14년 5월 13.3%에서 급증한 수치다. 

사진=연합뉴스

엄상민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앞으로 단순 고령층 비중만 늘어나는 게 아니라, 고령층의 고학력 비중도 함께 늘어날 예정이기에 이들이 취업 시장에 참여할 기회를 넓혀야 한다”고 했다.

 

55∼79세 중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은 69.4%로 1년 새 0.9%포인트 늘었다. 고령층 열 명 중 일곱 명은 현재 취업 상태든, 일을 하지 않고 있든 계속 일하기를 원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고령층 중 정규직으로 정년 퇴직하는 사람은 아직까지 소수다. 이승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이 최근 국회예산정책처에 기고한 ‘주된 일자리 고용연장 정책의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55~62세 중 법정정년(60세)까지 정규직 임금근로 일자리를 유지 및 퇴직하는 비중은 2010∼2022년 기준 14.5%다. 구체적으로 55~62세까지 정규직 임금 근로 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9.8%, 60세 즈음 정년 퇴직하는 비율은 4.7%에 그쳤다. 조기 퇴직 재취업(6.2%)을 반영하더라도 20%를 넘지 않는 비율이다. 나머지는 △비취업 유지(23.4%), △비임금 유지(24.4%), △비정규직 유지(18.4%), △비정규직 은퇴(4.4%)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다른 일자리로의 재취업보다 주된 일자리에서의 고용 연장이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여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정년 연장을 둘러싼 노사 대립은 걸림돌이며, 정책 대상이 정규직 근로자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어르신이 구직신청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 때문에 이 연구원은 ”정년연장 뿐 아니라 정년 전에 주된 일자리에서 이탈한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재취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병행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의무 재고용제도’가 선택지로 거론된다. 근로자가 원하고, 건강에 문제가 없을 시 기업이 정년이 지난 근로자를 재고용하는 제도로, 싱가포르와 일본은 각각 2012년, 2013년에 도입했다. 이 연구원은 “단기간 내 추가적인 정년연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싱가포르나 일본에서 시행하는 의무 재고용제도 같은 중간단계의 제도 도입이 사회적 대화의 진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신혜 '미소 천사'
  • 박신혜 '미소 천사'
  • 이세영 '청순미 발산'
  •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