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체액량 관리가 중환자 합병증과 사망률 가를 수 있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0-24 15:10:45 수정 : 2024-10-24 15:10:4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생체 전기 측정을 통해 환자 체내의 적정한 수분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치료가 중증 수술을 받은 중환자들의 합병증 발생률과 사망률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중환자외상외과 김은영 교수(외과중환자실장) 연구팀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을 통해 환자의 회복을 돕는 방법은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중환자외상외과 김은영 교수.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은 신체에 약한 전류를 흘려보내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측정해 체성분 구성을 파악하는 검사법이다.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면 탈수 증상이 발생하고, 수분이 과다하면 부종이 발생해 환자 회복에 있어서 수분 관리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술 과정에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당량의 수액을 투여하게 되는데, 광범위한 전신 염증 반응으로 체내 수분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 환자 200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눈 후 생체전기 측정 데이터에 기반해 세포외수분(ECW·Extracellular Water) 비율을 기준으로 체액량을 조절했다. 중재군인 체액량 관리 그룹에는 탈수 상태인 환자에게 결정질 용액을 투여하고, 체액량이 과다한 환자에게는 정상 범위 내로 떨어질 때까지 이뇨제를 투여해 체액량을 정상 범위 내에서 세심하게 조절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측정 결과와 무관하게 기존과 동일하게 전통적인 방식의 치료를 진행했다.

체액 모니터링 및 관리 기준.

그 결과  과수 상태에서 체액량 관리를 받은 환자(중재군)는 기존 방식으로 치료받은 환자(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46.0%에서 31.4%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특히 체액량 관리를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은 28일간 1.3%에 불과해 기존(14.4%)에 비해 13.1%포인트 급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을 활용한 수술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체액량 관리가 사망률과 합병증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 의미 있는 결과”라면서 “앞으로도 중환자 치료 성과를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중환자 28일 사망률 분석.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 영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지(Clinical Nutrition)’ 9월호에 실렸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VV 린 '강렬한 눈빛'
  • 트리플에스 VV 린 '강렬한 눈빛'
  • 박지현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청순 매력'
  • 아일릿 원희 '러블리 끝판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