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마무리된 ‘대왕고래 프로젝트’로 불리던 동해 심해 가스전 첫 탐사시추가 결과, 동해 심해에 있는 유망구조 중 가장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는 구조(대왕고래)에 첫 삽을 떴으나 경제성을 확인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현재 결과로는 대왕고래 (구조) 전체 가스포화도가 높지 않아서 대왕고래 추가 탐사시추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6/20250206515188.jpg)
이 관계자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왕고래가 가스 쇼어인지, 드라이홀인지 가스 유래를 확인해야 한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1차 탐사시추한 결과를 이같이 말했다.
쇼어는 가스가 나오는, 드라이홀은 반대로 가스가 나오지 않는 가스정을 말한다.
당초 탐사시추 전 대왕고래 구조 심부에 탄화수소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돼 작업이 들어갔다. 그러나 실제로 구조 내 가스포화도가 높지 않은 원인은 이제부터 정밀분석에 들어가야 한다. 가스 자체가 있었지만 이동했서인지, 다른 이유로 탄화수소가 빠져나갔는지, 최악의 경우 애초에 근원암(원유나 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 없는 드라이홀인지 파악하는 작업은 전문 분석이 필요해 정부는 용역기관에 이를 맡길 계획이다.
중간결과는 빠르면 5월 말에서 6월, 최종 결과는 8월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 구조 시스템이 양호한지 판단하는 요소는 크게 네 가지로 △근원암 △덮개암 △트랩 △저류층이다. 실제로 석유나 가스가 생성돼 이를 잘 보관할 수 있는 지질구조를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대왕고래는 가스포화도는 낮으나 석유 시스템 자체는 양호하게 판단돼 이외 6개 동해 유망구조는 더 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다음달 말부터 투자유치 절차를 시작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20일 대왕고래 탐사시추를 시작해 47일간 작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발표하며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가치’라는 표현까지 사용됐다.
이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매해 가스를 500억달러 넘게 수입하는 나라”라며 “스스로 자원개발을 할 수 있다면 자원개발 생태계와 자원안보, 무역수지, 재정 등에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이 가치를 증명할 기회는 투자유치라 생각해 여기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울릉분지(마귀상어 프로젝트)에도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다는 용역보고서가 나왔으나 이는 아직 신뢰도가 낮다고 정부는 선을 그었다. 산업부는 “신뢰성 검증을 거치지 않아 국내 전문가가 검토 중이며 이후 공식 발표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