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대화 재개 노력을 지지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하는 것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14일 공개된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안에 당사자로서,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공식 추천하는 상황이 있기를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WP는 ‘한국의 차기 지도자는 중국, 북한과의 더 따뜻한 관계를 원한다’는 제목으로 이 대표와의 인터뷰 내용을 전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4/20250214514694.jpg)
워싱턴포스트는 이 대표는 “한국의 차기 리더이자, 대통령으로 가장 유력하다”고 소개했다. 이 대표의 외교적 입장에 대해서는 “과거에 비해 뚜렷하게 변화했다”며 “한국의 강경한 대북 접근 방식에서 급격한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워싱턴포스트는 그러면서 이 대표의 노벨상 추천 언급에 대해 “이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가운 소식일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자신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을 때 ‘모스트 뷰티풀’(most beautiful)이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달 3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단독 명의로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한 바 있다. 당시 민주당은 기자들에게 “박 의원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문재인 정부와 함께 북미 대화에 나선 경험이 있어 추천한 모양”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미중 갈등 국면 속 한중관계에 대해서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정학적 환경에서 최전선에 있다”며 “균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과 중국의 관계 개선이 잠재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와의 대립을 만들 수 있다는 WP의 분석에 대해서는 “미국 역시 중국에 항상 적대적이지도 항상 협력적이지도 않다”며 “한국도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인 중국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4/20250214514685.jpg)
이 대표는 한일관계에 대해서는 협력해야 한다면서도 “강제징용 노동자 보상 문제 등 해결되지 않은 역사적 문제에서는 물러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독일은 진지한 반성을 했지만, 일본은 식민지 시대의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1월 습격을 당했던 상황에 대해서는 “쓰러지면서 하늘을 봤는데, '이제 이 하늘을 못 보겠구나. 이게 죽음이구나'하고 생각했다”면서 “남은 삶이 '덤'(보너스)처럼 느껴졌다. 더 자유로운 사람이 돼서 내 목숨의 중요성에 대한 걱정을 덜게 됐다”고 떠올렸다.
워싱턴포스트는 이 대표가 존경하는 인물로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한국의 독립운동가 김구 선생을 꼽았다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