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공판갱신 지연방지’ 규칙 개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사건이 이번 주 종결된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6-2부(재판장 최은정)는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 대표의 결심공판을 진행한다. 재판부는 이날 오전 이 대표 측과 검찰이 신청한 양형 증인을 각각 30분씩 신문한 뒤 서증조사를 진행하고, 오후 결심공판을 열어 변론을 종결할 계획이다. 결심공판에서는 이 대표에 대한 피고인 신문을 1시간 동안 진행한 뒤 검찰의 최종의견 및 구형, 변호인의 최후변론 및 이 대표의 최후진술 기회를 부여한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에서 헌재가 탄핵을 인용한다면 5~6월 대선을 치르기 때문에 이 대표의 이 사건 항소심 선고 시점에 관심이 쏠린다. 통상 선고기일은 결심공판 한 달 후에 잡혀 3월 말 선고가 예상된다. 3월 말 항소심 선고가 내려질 경우 공직선거법상 대법원 판결은 3개월 이내인 6월 말까지 나와야 한다.

한편 대법원이 형사소송규칙을 개정하며 이 대표의 대장동·백현동 개발 특혜 및 성남FC 의혹 재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번 법원 정기 인사에서 이 대표의 대장동 특혜 의혹 등 사건을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33부가 전원 교체되며 일각에선 갱신 절차에 수개월이 소요될 우려가 제기됐다. 지난해 배석판사만 교체된 해당 재판은 한 달가량 갱신 절차를 거쳤다. 대법원은 20일 대법관 회의를 열고 형사소송규칙 144조에 공판 갱신 절차에서 녹음파일 재생을 녹취서 열람으로 갈음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신설했다. 기존에는 검사와 피고인 중 한쪽이라도 동의하지 않으면 이전에 열린 공판 녹음파일을 모두 들어야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