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경호처가 비화폰(도·감청 방지 휴대전화) 서버에 대한 경찰의 압수수색에 응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국회 비상계엄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에 경호처 통신 담당 직원이 출석할 예정이다. 경찰은 비화폰 서버에 저장된 윤석열 대통령 등 통화내역이 아직 삭제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질문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실에 따르면 25일 국조특위에는 경호처 통신직원이 출석해 비화폰 서버에 대해 증언할 계획이다. 의원실 관계자는 “비화폰 실무직원이 출석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어떤 기록이 남아있는지 등 질문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다른 국회 관계자는 “사유서를 안내고 불출석 하는 경우도 있어 상황을 봐야 한다”고 전했다. 국조특위는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출석도 요구했지만 이들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경찰은 김 차장과 이 본부장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한 결과 경호처 내 비화폰 서버에 아직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통신내역이 지워지지 않았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7일 비화폰을 관리하는 직원에게 단말기 정보 삭제를 요구했지만 실무자들은 증거인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삭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통신 내역의 보존 기한은 알 수 없으나 삭제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차장의 증언에 따르면 비화폰 서버는 이틀 간격으로 과거 기록이 자동 삭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서버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경호처가 지급하는 비화폰은 윤 대통령과 경호처 직원들을 비롯해 김건희 여사,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등이 사용했기 때문에 그 통화내역은 비상계엄 사태를 규명할 핵심 증거로 꼽힌다.
다만 서버 확보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경찰은 지난 3일 경호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경호처의 반발로 8시간 대치 끝에 소득 없이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이를 막고 있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도 검찰에 번번이 막혔다. 검찰은 지난달 18일과 24일에 이어 지난 18일에도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기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