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親트럼프’ 부처 수장들, 머스크 구조조정 반기

입력 : 2025-02-24 20:00:00 수정 : 2025-02-24 21:58: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 ‘공무원 업무 보고’ 이메일 논란 확산
국가정보국장, 직원들에 “회신 말라”
국무부도 “부서 활동 보고 의무 없어”
FBI 국장은 “자체 절차 통해 내부 검토”

머스크 “답변자 승진 고려” 당근 제시
NYT “최고 실세 중요 시험대 직면” 평가
행정부, USAID 직원 ‘행정휴직’ 통보

미국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지시로 230만 미 연방공무원들에게 발신된 이메일 하나가 관가에 혼란과 반발의 소용돌이를 일으켰다. 인사관리처를 통해 보내진 이메일에는 인력 감축, 조직 개편 등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듯 “자신이 하고 있는 업무를 설명하라”는 요구가 담겼는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DNI) 등 민감한 정보와 안보 사안을 다루는 부처·기관 수장들을 중심으로 직원들에게 “회신하지 말라”고 주문한 것이다. 일부 현지 언론들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내에 균열 조짐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와 함께 턱시도 입고… 멜라니아, 한 달 만에 백악관 행사 등장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가 전국 주지사협의회 만찬이 열리는 미국 백악관 이스트룸 행사장에 검은 턱시도와 하얀 셔츠 차림으로 손을 잡고 나란히 입장하고 있다. 멜라니아는 지난달 24일 노스캐롤라이나와 캘리포니아의 자연재해 현장시찰 출장에 트럼프 대통령과 동행한 후 1개월 만에 백악관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워싱턴=AFP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개버드 국장은 이날 직원들에게 “업무의 민감성과 기밀 수준을 고려할 때 인사관리처 이메일에 답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캐시 파텔 연방수사국(FBI) 국장 역시 “자체 절차를 통해 내부 검토를 실시하겠다”며 회신 보류를 지시했다.

국방부, 국토안보부, 국방정보시스템국, 국립과학재단 등도 이와 비슷한 방침을 세웠다. 국무부는 “어떤 직원도 소속 부서의 지휘체계 밖으로 자신의 활동을 보고할 의무가 없다”며 부처에서 직접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지도부는 애초 달 착륙 계획 등 “기관 업무를 홍보할 기회로 삼으라”고 회신을 독려했다가 직원들이 보안 우려를 제기하자 “준비는 하되, 추가 지침을 하달할 때까지 대기하라”고 입장을 바꿨다. 인사관리처는 24일 오후 11시59분까지 회신할 것을 요구했는데, 마감 하루 전까지도 도처에서 혼선이 빚어진 셈이다. 의회도서관, 법원행정처 등 입법·사법부 산하 기관에서도 “인사관리처에서 이메일이 오면 응답하지 말라”는 지침이 전달됐다.

그러자 머스크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이메일을 확인하지 않을 정도로 일이 적은” 공무원들은 퇴출돼야 한다며 “이미 좋은 반응이 접수됐다. 이들은 승진 후보자로 고려해야 한다”고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들었다.

사진=AP연합뉴스

하지만 보안 전문가들은 머스크의 이번 요구에 대해 “일부 부처 직원들은 명시적 승인 없이는 제3자에게 업무 관련 정보를 공개할 수 없으며, 230만 연방공무원의 인적사항과 업무 관련 정보가 하나의 이메일 서버에 모이는 것 자체로도 보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충성파’로 꼽히는 개버드 국장, 파텔 국장까지 머스크에 반기를 든 것을 두고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동 대통령’이라는 평가를 받는 최고 실세가 중요한 시험대에 들었다”고 평가했다.

머스크의 일방통행식 구조조정이 각종 잡음을 일으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도 꺾이고 있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13∼18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4%로 ‘지지하지 않는다’(51%)보다 적었다. 취임 직후 47% 대 41%에서 역전된 것으로, 미 언론들은 “정부 구조조정과 물가 인상에 대한 반감으로 허니문 효과가 사라지고 있다”고 짚었다. 특히 CNN방송 여론조사에서는 머스크의 정부 내 역할에 대해 ‘나쁜 일’이라고 평가한 응답이 54%로 과반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23일 오후 11시59분을 기해 국제개발처(USAID) 내 직책 2000개를 없애 해당 직원들을 해고하고 나머지 직원 대부분은 행정휴직 처리한다고 이날 통보했다. 통지문 발송은 지난 21일 워싱턴 연방지법이 USAID 직원 해고와 연계된 구조조정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는 기존 결정을 해제한 직후 이뤄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직원 수가 1만명이 넘고 연간 예산이 428억달러(약 61조원)에 달하는 대외 원조·개발협력 기구인 USAID를 290명 규모로 축소해 국무부 산하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여자)아이들 소연 ‘매력적인 미모’
  • 하츠투하츠 유하 '신나는 무대'
  • 하츠투하츠 이안 '매력적인 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