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야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산불진화대원과 인솔 공무원 등 4명이 숨지면서 총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번 산불 원인과 사망 사고 경위에 대한 경찰 조사도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경남경찰청은 이번 산청 산불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는 예초기 작동과 관련해 A씨 등 4명을 참고인 조사했다고 24일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산불이 처음 발화한 시간대에 발화 지점 인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A씨는 예초기 작업 중 불꽃이 튀어 불이 났다는 취지로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예초기로 인해 불이 났는지 주변 담뱃불 등 다른 원인으로 불이 났는지 등은 계속 확인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불이 번지면서 산림청은 1시간 만에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같은 날 오후 6시40분쯤 올해 들어 처음으로 산불 대응 3단계로 격상하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건조주의보가 발효된 데다 화재 지역에 강풍이 불면서 불길은 나흘째 잡히지 않고 있다.
이 화재로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 60대 3명과 30대 공무원 1명이 숨졌고, 6명이 크고 작은 화상을 입고 치료 중이다.
경찰은 구체적인 화재 원인을 추가 조사한 뒤 산청군 특별사법경찰관에 사건을 넘길 계획이다.
또 이번 산불로 숨진 사망자들에 대한 사고 경위도 조사할 방침이다.
산림청과 경찰은 이들이 산불이 발생한 구곡산 7부 능선까지 올라 불을 끄던 중 강풍과 역풍에 휩싸이며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산불 진화 상황에 맞춰 동료 산불진화대원 등을 토대로 참고인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