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억 집 팔아도 빚 못갚아”…이런 ‘고위험가구’ 40만이나 된다

입력 : 2025-03-28 07:57:58 수정 : 2025-03-28 07:57:5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채무상환능력이 위태로운 ‘고위험가구’가 40만 가구에 육박한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24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2024년 기준 38만60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부채 가구의 3.2% 수준이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 규모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각각 40%와 100%를 넘는 가구를 뜻한다. 갚아야 하는 원리금이 소득의 40%를 넘고, 자산을 다 팔아도 빚을 못 갚는 이들이 40만 가구에 육박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고위험가구 비율은 2023년(3.5%)에 비해 하락했지만 2022년(2.6%)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장기 평균인 3.1%와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고위험가구의 DSR 중윗값은 75.0%다. DTA 중윗값은 150.2%다. 한은은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능력이 크게 저하돼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비수도권 고위험가구의 중윗값 기준 DSR과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78.3%, 151.8%)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비수도권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높았다.

 

한은이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시산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은 각각 5.4%, 4.3%로 나타났는데 올해 말에는 각각 5.6%, 4.0%로 격차가 확대될 전망이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