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것과 관련해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 원장은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에 대해 직을 걸고라도 반대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 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금융위원장께 연락을 드려서 제 입장을 표명했다”라며 사의 표명을 했음을 시사했다.
그는 “금융위원장께 말씀드렸더니 경제부총리와 한국은행 총재께서도 연락을 주셔서 지금 시장 상황이 너무 어려운데 경거망동하면 안 된다고 자꾸 말리셨다”며 “저도 공직자고 뱉어놓은 말이 있다고 말했더니 내일 아침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에서 보자고들 하셨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일단 4월4일(탄핵 선고일) 대통령이 오실지, 안 오실지 등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입장 표명을 하더라도 가능하다면 대통령께 말씀드리는 게 제일 현명한 게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이 최상목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재의요구권(거부권)을 요구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주주가치 제고와 관련한 논의를 원점으로 돌리는 형태의 의사결정은 저로서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 직을 걸고서라도 반대한다”라고 공개 반발했다.
이 원장은 한 대행의 거부권 행사에는 “총리께서도 헌법적 권한을 행사한 것이기 때문에 헌법 질서 존중 차원에서는 그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며 “자본시장법 개정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는 원칙에도 동의한다”고 말했다.
6월 금감원장 임기 만료 후 행보에 대한 질문에는 “계획대로라면 6월5일 마지막 근무일 밤에 아들과 발리 길리섬을 가려고 비행기 티켓을 끊어놨다”고 말했다. 정치에도 일단 뜻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22대 총선 때 출마 권유가 꽤 있었지만 가족들과 상의 후 안 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었다”며 “가족이 선뜻 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그런 결정을 할 수는 없을 것 같고 25년 넘게 공직 생활을 했으니 할 수 있다면 민간에서 조금 더 시야를 넓히는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