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 차로만 빼고 차벽 ‘철통경비’
테러 대비해 인근 폭발물 수색도
폭력시위 선동 유튜버 특별 관리
일대 궁궐·박물관·기업 등도 휴업
“광화문·여의도·이태원 등 14개 역
인파상황에 따라 무정차할 수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찬반 단체 간 충돌에 대한 우려와 긴장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찰은 4일 자정을 기점으로 모든 경찰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불법행위에 대한 근절에 나선다. 탄핵 선고가 이뤄지는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일대는 진공상태로 만들어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고, 일대에 위치한 학교, 박물관, 은행, 기업들은 일제히 휴업, 재택근무 상태에 들어갔다.
경찰청은 3일 오전 9시부터 경찰력 50%를 동원하는 을호비상을 발령했고, 4일 0시를 기점으로 경찰력 100%를 동원하는 갑호비상으로 전환했다. 갑호비상은 비상근무 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로 모든 경찰의 연차 사용이 중단되고 비상근무에 동원된다.

경찰은 전날부터 헌재 일대 150m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출입을 통제했다. 주요 길목마다 바리케이드가 설치됐고 경찰관이 배치됐다. 인도 곳곳에는 “헌법재판소 시설보호 및 인파밀집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경찰의 통행 안내에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는 안내문이 적힌 입간판이 놓였다.
헌재 인근 차도에는 경찰 차벽트럭이 배치돼 양방향 교통이 전면 통제됐다. 통제 구간은 안국역∼낙원상가, 안국동 사거리∼종로소방서, 재동초등학교∼안국역, 율곡터널∼안국사거리다. 헌재 앞 왕복 4차로 차도는 차량 진·출입을 위한 1개 차로를 제외하곤 경찰버스로 메워졌다. 헌재 경내엔 현장에서 경비 작전을 지휘하는 경찰 지휘차량이 배치됐다.
경찰은 혹시 모를 폭탄 테러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헌재 인근 폭발물 수색에도 나섰다. 경찰특공대와 탐지견이 헌재 주변을 돌아다니며 폭발물 설치 여부를 확인했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이날 오전 종로구 현대건설 인근에서부터 헌재 경내까지 걸어 이동하며 경비 태세를 직접 점검했다. 박 직무대리는 “서울 경찰은 탄핵선고 당일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경찰의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국민의 안전을 지켜 나가겠다”며 “헌재를 비롯한 주요시설 안전확보와 재판관 등 주요 인사 신변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겠다. 선고일 전후 질서유지를 위해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선고일 집회 분위기가 격화하면서 공공시설 파괴나 재판관 등에 대한 신변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 현행범 체포와 구속수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 종로·중구 일대는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되고, 현장 경찰은 방검복을 입고 캡사이신과 경찰 장봉을 지참해 시위대의 폭력 행위에 대비한다. 시위 현장에서 폭력 행위를 선동할 수 있는 유튜버 등은 특별 관리하기로 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헌재 일대 집회에 18명의 조사관을 투입해 집회 참가자와 경찰 간 충돌과 집회 방해 행위 등 인권침해가 발생하는지 감시할 예정이다.
선고일에는 헌재 일대 생활시설이 멈춰선다. 헌재 인근 11개 학교와 경복궁과 창덕궁, 덕수궁 등 궁궐과 주변 박물관, 미술관이 임시 휴업한다. 헌재 인근에 사옥이 위치한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재택근무를 결정했다. 헌재 일대 은행 영업점들도 선고일 문을 닫는다.

안국역은 이날 오후 4시부터 폐쇄 후 무정차 통과가 이뤄졌다. 안국역 인근 종로3가역 4·5번 출입구도 폐쇄하기로 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선고일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1호선 종각역, 1·2호선 시청역, 1·3·5호선 종로3가역, 2호선 을지로입구역, 3호선 경복궁역, 5호선 광화문역·여의도역·여의나루역, 6호선 한강진역·이태원역·버티고개역 등 14개 역사는 인파 상황에 맞춰 무정차 통과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안내했다.
종로구 일대 도로가 경찰 경비와 집회로 통제되면서 교통 정체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날 오전 7시 기준 서울시 전체 도로의 평균 차량 속도는 시속 24.8㎞였는데, 헌재 인근 안국동사거리∼경복궁교차로는 시속 13㎞, 안국동사거리∼조계사앞은 시속 11.9㎞로 정체가 발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