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초분광 영상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위암을 빠르고 정밀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3일 아주대학교에 따르면 이 학교 윤종희 교수(물리학)와 의과대학 노충균 교수(소화기내과학), 노진 교수(병리학) 공동 연구팀은 초분광 영상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이처럼 새로운 위암 진단 기술을 내놓았다.

현재 위암 진단은 내시경을 통해 1차 검진하고, 암으로 의심되는 부위는 박리술을 통해 조직을 확보한 뒤 병리조직검사로 판단한다.
내시경 검사 시에 조직 내 위암의 존재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이에 아주대 공동 연구팀은 초분광 영상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가능성을 타진했다.
초분광 영상기술은 빨강·파랑 등 기존의 컬러 영상 기술에 비해 더 많은 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이다. 가시광선 영역뿐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의 빛까지 분해한다.
아주대 연구팀은 영상처리 및 정합 기술을 개발해 병리조직검사 데이터와 초분광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고 정답 데이터를 확보해 인공지능 모델을 정밀하게 학습시켰다. 이어 정상 조직과 암 조직 등 질병에 따라 변화되는 조직의 광특성을 질병 진단에 활용했다.
윤 교수는 “환자로부터 획득한 조직으로 별도의 생화학 처리 없이 암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음을 보인 성과”라며 “조직 검체 확보와 동시에 몇 분만에 암 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신진연구사업, G-LAMP 사업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