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이달부터 내년까지 외국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경기도형 광역 비자’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사업이 최근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선정된 데 따른 후속조치다. 도는 이번 광역 비자 도입이 ‘양적 도입’에 치우쳤던 외국인 노동력 유입을 ‘우수 인재 유치’로 전환할 기회로 보고 있다.

도에 따르면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법무부와 광역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설계한 지역 맞춤형 체류 비자를 일컫는다.
특히 경기도형 광역 비자는 특정 분야 비자(E-7)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어 능력이 우수한 인재의 취업 기회를 확대한 것이 강점이다. 공학 분야 기술자, 데이터·네트워크 전문가 등 12개 직종이 포함된다.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통신공학 기술자를 비롯해 웹 개발자, 데이터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정보 보안 전문가, 전자공학 기술자, 로봇공학 전문가, 요양보호사 등을 망라한다.
앞서 경기도는 전국 E-7 계열 쿼터(1210명)의 52%에 해당하는 630명분의 광역 비자 쿼터를 우선 확보한 바 있다.
국내거주 외국인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자(한국어능력시험 4급 이상 소지자)의 경우 외국대학 학사 학위 전공이 취업 직종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1년 이상 경력이 있으면 경기지역 기업 취업이 가능하다.
또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만 비자 취득이 가능했던 로봇공학 전문가 직종이 학사 학위 취득자(외국대학 졸업 후 1년 경력 보유 시)까지 확대됐다.
김원규 경기도 이민사회국장은 “경기도형 광역 비자는 글로벌 인재를 유치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첨단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수 인재들이 경기도에서 안정적으로 정착, 활동하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