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팬층 점점 두터워져
망 사용료 등 문제는 여전

세계 최대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에서 한국 콘텐츠 소비시간이 미국 콘텐츠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Ampere)는 15일(현지시간) “한국 프로그램이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암페어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2위로, 8∼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7∼8%인 영국과 4∼5%인 일본 콘텐츠를 넘어선 수치다. 미국 할리우드에 이어 양질의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해 세계 시장에 공급해 온 영국, 각종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세계적인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을 제쳤다는 점에서 K콘텐츠의 높아진 위상, 위력을 재확인할 수 있는 결과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K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넷플릭스의 위상은 높아지고 있지만 망 사용료, 세금 회피 문제 등으로 넷플릭스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한국에서 9000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39억원의 법인세를 내는 데 그쳐 ‘세금 회피’ 논란이 일었다. 망 사용료 문제는 한국 시장 진출 이후 꾸준히 제기된 문제이지만 여전히 해결이 난망하다. 한국 제작 시장을 활용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맛본 넷플릭스가 제작비용을 계속 끌어올리면서 토종 OTT와 방송사뿐 아니라 제작사 역시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