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리대와 초기 설계 계약
한국이 원자력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연구로) 설계 기술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1959년 미국 원자로 도입으로 첫발을 뗀 한국 원자력 기술이 66년 만에 미국에 역수출되는 성과를 거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현대엔지니어링, 미국 MPR사 컨소시엄이 미국 미주리대가 국제 경쟁입찰로 발주한 ‘차세대 연구로 사업’ 첫 단계인 초기설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미주리대의 차세대 연구로는 열출력 20㎿(메가와트)급 고성능 연구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주로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과 연구개발에 쓰일 예정이다.
한국이 계약한 초기설계는 연구로 개념설계에 앞서 건설 부지 조건, 환경영향평가 등 설계 사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다. 원자력연 컨소시엄은 지난해 7월 최종협상 대상자로 선정됐고, 사업 첫 단계인 초기설계 계약을 이날 확정했다. 한국 컨소시엄은 초기설계 다음 단계인 개념·기본설계 최종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상태여서 향후 추가 협의를 거치게 된다. 이번 수주는 1959년 미국에서 첫 원자로인 ‘트리가 마크-2’를 도입하며 싹 튼 한국의 원자력 기술이 종주국으로 역수출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과기부는 계약 성공 요인으로 독보적 기술력과 연구자들의 기술 개발·수출 노력, 다수의 해외 연구로 사업 경험 등을 꼽았다. 원자력연이 개발한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은 수주 과정에서 높은 점수를 딴 핵심 기술요인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이 기술은 우라늄 밀도를 기존보다 10% 높여 연구로 성능을 향상시키고 핵확산(핵무기 전용 가능성) 저항성을 강화한다. 컨소시엄 구성원의 시너지도 주효했다. 원자력연은 연구로 운영과 해외수출 경험이 풍부하고 현대엔지니어링은 사업 운영 능력이 있으며 미국 MPR은 미 원자력규제위원회 인허가 경험을 갖췄다.
과기부는 앞으로 20년간 각국의 연구로 노후화로 교체·보수 수요가 발생하는 만큼 해외 진출에 힘을 싣기로 했다. 수출을 촉진하고 관련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해외진출 강화 전략을 내달 마련한다.
유상임 과기부 장관은 “이번 수주는 과거 우리나라가 원자력을 도입할 때 도움을 줬던 미국에 역으로 연구로 설계를 수출하는 새로운 성공 역사”라며 “향후 연구로에 대한 전략적 수출을 강화하는 한편 국가전략기술인 선진 원자력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글로벌 원자력 기술을 선도하고 미래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