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도보 30분 내 해결… ‘보행 일상권’ 첫발

입력 : 2025-04-23 06:00:00 수정 : 2025-04-22 22:42:2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 시범사업 본격 착수

교육·여가 등 자족 기능 역점
평창·부암 포함 8곳 시범 대상
인프라 분석 후 확충안 마련
2040년까지 100곳 이상 조성

서울시가 도보로 30분 내에서 일과 여가, 각종 일상생활이 가능한 ‘서울형 보행 일상권’ 시범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시는 올해 9월 보행 일상권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가이드라인을 정립해 2040년까지 시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9일 보행 일상권 조성 계획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대상지 8곳을 선정했다. 보행 일상권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2년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처음 제시한 도시 공간 개념으로, 멀리 가지 않고도 주거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뜻한다. 일반인의 보행 속도와 실제 보행 거리, 자전거나 개인형 이동 장치(PM) 같은 이동 수단을 감안해 시간적 범위는 도보 30분 내, 공간적 범위는 최대 1.8㎞ 이내로 설정됐다.

시는 현재 주거 용도 위주로 형성돼 있는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해 서울형 보행 일상권을 실현, 시민 삶의 질을 한층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2023년 3월 이를 위한 연구 용역에 나서 보행 일상권 개념을 구체화해 공공·의료, 교통, 돌봄, 생활 편의, 업무, 여가, 학습 7개 분야 42개 필수 시설을 도출했다. 필수 시설엔 공공 청사와 공원, 소방·의료 기관, 어린이집, 유치원, 지하철역, 하천 등이 포함됐다.

보행 일상권 가이드라인을 위한 대상지는 전문가들이 지역 특성과 균형, 파급효과, 자치구 의지 등을 평가해 △종로구 평창·부암 △성동구 금호·옥수 △동대문구 청량리 △영등포구 신길 △성북구 정릉 △강북구 수유 △서대문구 홍제 △서초구 양재 8곳을 낙점했다. 시는 실제 사례를 파악해 역세권 등 주요 거점 중심의 보행 일상권 조성 및 필수 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 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한다.

시는 또 대상지별로 보행 일상권 필수 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해 지역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을 마련한다. 공공시설은 기부채납이나 공공 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 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보행 일상권 모델을 만들어 시는 물론 25개 자치구가 도시관리계획 및 정비 사업, 소규모 정비 사업, 도시 재생 사업, 역세권 사업 등 개발 사업 계획을 수립할 때 보행 일상권 필수 시설 확충 근거로 활용하게 할 계획이다.

조남준 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서울형 보행 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면서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 일상에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