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조정 봐가며 기준·일정 결정”
금융당국이 최근 확대되고 있는 주요국들의 경제 불확실성을 고려해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과 일정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 금융추진단 제5차 회의’에서 “최근 상호관세 등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주요국에서 공시 수준 조정 움직임이 있는 만큼 이를 고려해 지속가능성 공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앞서 국내 상장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위원장은 이어 “기관투자자나 신용평가사 등 많은 투자자가 기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지속가능성 공시 정보를 요구하고 있어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지속가능성 공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속가능성 공시 관련 주요국 동향과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검토 진행 상황이 논의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지침(CSRD)을 제정한 이후, 현재까지 프랑스 등 19개국에서 해당 지침을 자국 법규에 반영해 올해부터 지속가능성 공시가 시작됐다.
금융위는 직원 1000명 이하 기업의 공시 면제와 단계적 유예, 공시 기준 간소화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제조업 비중이 큰 한국 산업구조의 특징을 고려할 때 한국도 주요국 동향을 좀 더 봐가며 결정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EU의 역외기업 공시 의무화 시기가 2029년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해 국내외 투자자에게 정보제공 필요성이 높은 기업들의 최초 공시 시행 시기를 검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