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오는 6월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 테마주 과열 등 이상 거래 행위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23일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종목은 115개로, 이 중 52%에 해당하는 60개 종목이 정치테마주로 나타났다.

거래소의 시장경보제도는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3단계로 구분된다. 투자경고 종목 지정 시 신용융자로 매수할 수 없으며 매수 시 위탁 증거금을 100% 납부해야 한다. 특히 이달 들어선 투자경고 및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37개 중 78%에 해당하는 29개가 정치테마주로 집계돼 과열 양상이 심화했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8일까지 거래소가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개 종목 중 56%인 34개가 정치테마주였다.
이들 종목은 다수가 급격한 주가 변동성을 보였으며, 실적도 시장 평균 대비 부진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코스피 변동률(16.47%)의 7배에 달했다.
실적의 경우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된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3317억원으로 코스피 시장 전체 평균(2조2290억원)을 대폭 밑돌았으며, 코스닥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 역시 590억원으로 코스닥시장 평균(1214억원)을 하회했다.
영업이익 역시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정치테마주 평균 영업이익은 각각 36억원, 5억원으로 전체 시장 평균(코스피 1506억원·코스닥 51억원) 대비 부진했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의 경우 출신학교·지역 등 정치인과의 단순한 연결고리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들 종목은 정치뉴스나 여론조사 결과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주가 및 거래가 급증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추종 매매를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1대 대선 기간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 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하게 대처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