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근 녹음 요구에 포렌식 절차 중단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출석하며 자신에 대한 ‘구명로비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포렌식 절차는 임 전 사단장이 과정 녹음을 요구하면서 진행되지 못했다.

임 전 사단장은 23일 공수처에 출석하며 구명로비 의혹에 대해 “전혀 실체가 없다”며 “지난해 8월 포렌식에서 이미 많은 자료들이 나왔고,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언급된 단톡방 참가자들을 포함해 통화목록까지도 모두 수사기관에서 조사가 이뤄졌다. 공수처는 구명 로비가 없었다고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휴대전화 비밀번호와 관련해서는 “지금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박정훈 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 과정에 불법이 있었는지 밝혀져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어 “박 대령을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도 해병대 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라며 “박 대령이 저를 조사하기 전 김계환 사령관의 뜻이라며 ‘작전통제권을 육군에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했고, 이에 따라 (조사 당시) 작전통제권이 없어 책임도 없다는 주장을 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전 임 전 사단장은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공수처에 출석했지만 임 전 사단장이 녹음을 허용하지 않을 경우 협조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진행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포렌식 과정 녹음 허용 여부에 대해 임 전 사단장 측 변호인과 협의를 거쳐 다시 포렌식 작업을 시도할 계획이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을 2023년 7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 등을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왔으나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으나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해 증거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