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은 2.1% 늘어난 3.6조원
하이브리드차 등 판매 확대 영향
2분기 美 관세 영향 최소화 나서
현대자동차가 미국의 자동차 관세 등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서도 1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하지만 2분기 이후 관세 영향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 현지화 등을 통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24일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44조4078억원으로, 1분기 기준 최대치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2.1% 증가한 3조6336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8.2%를 기록했다. 판매 대수는 도매 기준 100만 1120대로, 1년 전보다 0.6% 감소했다.

현대차는 판매 대수가 감소했지만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차 판매와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6만6360대가 판매됐고, 해외에서는 대외 환경 악화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83만4760대가 판매됐다. 다만 해외 중에서도 미국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24만2729대가 판매됐다.
특히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대수는 전기차(EV) 판매 확대, 하이브리드 제품군 확대와 판매 견인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2426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 급변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과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신형 팰리세이드와 넥쏘, 더 뉴 아이오닉6 등의 신차 판매를 확대하고, 지역별 탄력적인 공급 정책을 펼쳐 수익성을 유지하겠고 밝혔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 부사장은 “미국 공장의 생산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부품 소싱과 물류를 포함한 미국 현지화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