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무 “양국 빅딜 기회 있다”
車 부품 관세 일부 면제 검토도
中 “美와 지금 협상 진행 없어
싸운다면 싸우되 대화 문 열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향후 2∼3주 안에 새 관세율을 정할 것을 시사했다. 중국과 100%가 넘는 관세를 주고받으며 세계경제 불안정성을 키운 가운데 미국 시장도 주가 하락, 국채 가격 하락, 달러 하락 등으로 고전하자 연일 낙관적인 메시지를 내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이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중국에 달렸다. 결국 우리는 훌륭한 거래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전날 중국과의 협상 시 현재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가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한 데 이어 이틀째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이 새로운 관세율에는) 중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의에는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 협상을 총괄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국제금융연구소 주최로 열린 대담에서 미·중 관세 문제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이는 무역 금수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내가 이전에 말했지만 (미·중 간) 빅딜의 기회는 있다”고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48시간 동안 중국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톤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게 맞느냐는 질문을 받고 “대통령은 협상이 진행될 경우 그 시점을 직접 발표할 것이지만, 대통령과 우리 팀은 협상에 열려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며, 특히 다른 모든 국가에 대해서는 더욱 낙관적”이라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중국과의 관세전쟁 탓에 트럼프 대통령이 소매업체의 진열대가 빌 것을 걱정하고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기만을 기다리다 관세정책을 고수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절대 아니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나라가 우리와 협상 중이고, 중국은 이미 협상을 시작했다”고 반박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과 관련한 일부 관세를 면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합성마약 펜타닐 수입과 관련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에 부과해온 관세(20%)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25%)에서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 제품에 예외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도 관세 부과대상에 포함한 바 있다.
이 같은 방안이 실제로 시행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 적용을 받은 전체 국가에 90일간 관세를 유예한 것에 이어 자국 경제를 우려한 또 하나의 관세 관련 후퇴 조치로 받아들여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매일 협상하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정면으로 부인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미국 쪽에서 미·중 간 협상이 진행 중이며 심지어 합의에 이를 수 있다는 소식이 계속 전해지고 있는데 확인해 달라’는 질문에 “가짜뉴스”라고 답했다. 그는 “내가 아는 바로는 중·미 양측은 관세 문제에 대해 협의 또는 협상을 진행하지 않았으며, 합의 도달은 말할 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궈 대변인은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되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 있으며, 대화와 협상은 평등과 존중, 호혜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 허야둥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방적 관세 부과 조치는 미국이 시작한 것”이라며 “미국이 진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중국에 대한 모든 일방적 관세 조치를 전면 철회하고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의견 차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