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대통령 내란 단정한 게
‘형님 강제입원’과 뭐가 다르냐”
안철수 “책임있는 정치인이면
과거 실책 외면 말고 직시해야”
한동훈 “대통령 바로잡으려 해
나서지 않은 정치인들도 책임”
“대통령이 계엄을 하고 탄핵을 당하고 파면되는 이 모든 과정에서 한동훈 후보의 책임이 제일 크다.”(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
“대통령이 잘못 가는 길이 있을 때 아첨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바로잡으려고 했다. 그걸 배신이라고 부르나.”(국민의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보수의 진짜 책임은 국민 앞에서 반성하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국민의힘 안철수 대선 경선 후보)

6·3 조기대선이 40일 앞으로 다가온 24일, 국민의힘 차기 대선주자를 결정짓는 당내 경선이 여전히 ‘탄핵의 강’ 주변을 맴돌았다. 탄핵 반대파(반탄파) 대표 주자인 김 후보와 탄핵 찬성파(찬탄파) 한 후보 간의 토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과 잇따른 탄핵 사태의 정당성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오갔다. 김 후보와 또 다른 찬탄파 주자 안 후보의 토론에선 ‘부정선거 음모론’을 두고 설전이 벌어졌다.
김·한 후보 간 토론에서 김 후보는 한 후보를 향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를 법무부 장관도 시켜주고 정치를 한 번도 안 해 본 분을 비상대책위원장도 시켜줬는데 대통령을 탄핵해버렸다”며 “대통령 선거를 다시 해야 되는 모든 뿌리, 책임과 시작이 한 후보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 후보는 김건희 여사 문제·명태균 의혹·의료 대란 등을 언급하며 “제가 대통령의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나섰을 때 함께 나서 주지 않았던 많은 정치인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중에 한 분이 김 후보일 수도 있다”고 받아쳤다.
탄핵 찬반을 두고 토론이 과열되며 공세 수위도 점차 올라갔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2020년 코로나 방역 수칙 위반으로 이날 벌금형이 확정된 것을 두고 “대통령이라는 법치의 상징을, 과연 그런 기본적인 수칙을 지키지 않은 사람이 할 수 있느냐”며 “지금 이재명 대표의 확정된 전과 숫자보다 오히려 김 후보님의 숫자가 더 많지 않으냐”고 꼬집었다. 김 후보는 한 후보가 탄핵 국면을 주도한 것을 두고 “한 후보가 대통령을 탄핵하고, 내란이라고 단정한 것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자기 형님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킨 것과 다를 게 뭐냐”고 주장하기도 했다.

안·김 후보 간 토론에서도 탄핵 찬반은 주요 화두에 올랐다. 안 후보는 “책임있는 정치인이라면 과거 실책을 외면하지 말고 직시해야 한다”며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지만, 김 후보는 “(안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을 탄핵했기 때문에 이재명이라는 천하의 범죄 혐의로 재판받는 사람이 날뛰고 있다”고 되받아쳤다. ‘부정선거 음모론’을 두고도 김 후보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관리가 부실하다”며 “사전투표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안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우리가 이겼는데 부정선거냐”며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도 반탄·찬탄파 사이 입장이 갈렸다. 김 후보는 “한덕수든 김덕수든, 누가 나오더라도 반드시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안 후보는 “미국의 관세 문제가 심각하다. 한 대행께서 3개월 동안 이 일에 집중하라”고 말했다. 한 후보는 “치열한 경선을 하는 과정에서 미리 너무 앞장서서 얘기한다는 건 도움 되지 않는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날 후보들은 각자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논란들에 정면 돌파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김 후보는 ‘자유통일당과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사실상 관련이 없다”면서 “전 목사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지키려고 하는 목사”라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당원 게시판에 한 후보 가족 명의로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씨를 비판하는 글이 올라왔다는 ‘당게 의혹’에 대해 “계엄에는 관대하고 당 게시판은 아직도 그렇 예민하나”며 “아직도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 게)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성역으로 보고 있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언행이 민주당과 차이가 없다’는 유권자의 지적에 “민주당은 나눠주기식이고, 저는 개인 자산을 두 배로 불리는 성장 정책”이라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