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공사가 안전관리 능력 평가에서 72개 공공기관 중 가장 낮은 등급을 받았다.
기획재정부는 25일 김윤상 2차관 주재로 제4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2024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 결과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는 기관의 안전관리 능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2020년 도입됐다. 심사 대상은 안전관리가 필요한 사업·시설을 보유한 72개 공공기관·종사자다. 심사는 4대 위험요소(작업장·건설현장·시설물·연구시설)를 보유한 공공기관의 안전역량·안전수준·안전성과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평가 결과는 1등급(우수), 2등급(양호), 3등급(보통), 4등급(미흡), 5등급(매우미흡) 등 5개 단계로 구분된다.
심사 결과 인천국제공항공사·공무원연금공단 등 20개 기관이 2등급을, 강원랜드·국가철도공단 등 51개 기관은 3등급을 받았다.
새만금개발공사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4등급을 받았다. 올해 1등급과 5등급을 받은 기관은 없었다. 4등급은 ‘안전조직 위주의 안전관리 참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구성원 참여는 부진하고 작업현장의 안전 활동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작년과 비교하면 보통 등급 이상(2·3등급) 기관은 4개 늘고 미흡 이하(4·5등급) 기관은 4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은 전년과 비교해 소폭 개선됐다”고 말했다.
공공기관은 심사 과정에서 지적받은 개선 필요 사항을 연말까지 이행해야 한다. 4등급을 받은 새만금개발공사는 안전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고 경영진·안전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안전 교육도 해야 한다.
이번 심사는 전원 민간위원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해 건물 해체공사, 고위험 시설물 등 안전 취약 분야 심사 지표를 강화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