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계엄 사죄” 고개숙인 윤희숙에 후보들도 들썩…당내 사과론 부상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대선

입력 : 2025-04-26 23:14:22 수정 : 2025-04-26 23:14: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민의힘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윤희숙 원장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표명한 이후, 당내에서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 주자들뿐 아니라 ‘반탄’ 주자와 지도부에서도 윤 원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6·3 조기대선이 3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과 정치적 관계를 단절하는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윤희숙 원장. 연합뉴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찬탄 주자인 안철수 후보는 전날 경기 성남시 판교역 앞 광장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 토론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원장 연설과 관련해 ““지금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이 이번 대선을 ‘이재명 대 윤석열’로 치르려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결국은 우리 당이 굉장히 불리해진다”며 “이재명 대 우리의 참신하고 능력 있는 후보의 대결로 바꾸자는 것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저는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이미 사과를 드렸고, 또 다른 기자회견을 통해서도 사과드렸다”면서 “다른 세 분의 후보들이 사과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 아직 세 분 중 누구도 거기에 대해서 응답하지 않았다. 그게 안타깝다”고 밝혔다.

 

반탄 주자로 분류되는 김문수 후보 역시 같은 날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원장 연설에 대해 “우리 당이 변화해야 한다, 살아야 한다, 대한민국을 책임져야 한다, 발버둥을 치지 않으면 나라와 국민에게 죄를 짓는다는 것이라는 절박함을 담은 간절한 목소리였다고 생각한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김 후보는 사과하겠다는 입장을 직접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계엄 선포 당시 국무위원으로서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됐으니까 사과하자 이렇게 간단한 OX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당에서 앞으로 계속 치열한 논쟁과 함께 국민들과 논의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는 “사과는 당연히 할 때가 되면 하겠다”면서도 “더불어민주당은 하나도 반성·사과하지 않고 우리만 계속 사과하라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후보와 홍준표 후보가 맞붙은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 토론회에서는 윤 원장 연설과 관련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다.

 

한 후보는 당시 당대표로서 계엄 선포에 책임이 있다는 홍 후보 측 공세에 "계엄에 이르게 된 과정에 대해 (당시) 여당 대표로서 대단히 죄송하다는 말씀을 국민께 드린다"고 답했다. “홍 후보처럼 대통령 옆에서 아부하면서 대통령 기분 맞췄던 사람들에게 계엄의 책임이 있다”며 “보수 정당에서는 공동체와 국민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직격하기도 했다.

 

한 후보는 마무리 발언에서도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리는 것으로 마지막 발언을 시작하겠다”며 “이런 일(비상계엄 선포)을 겪으셔서 안 되는 것이었다. 정치가 더 잘했어야 되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25일 오후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토론장에서 방송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홍 후보는 당시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된 것이었다”면서도 “2시간의 해프닝이었다”고 평가했다. 계엄으로 인한 피해가 없었느냐는 한 후보 질문에 홍 후보는 “계엄 때문에 세상이 흉흉해진 피해는 있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국민의힘 지도부 역시 윤 원장의 연설에 대해 공감의 뜻을 밝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윤 원장 연설) 취지에 대체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윤 원장 발언의 전체적 취지는 당정 간 불통과 더불어민주당의 폭압적이고 위헌적인 입법권 남용이 오늘의 사태를 초래했다는 것”이라며 “지도부 일원으로서 건강한 당정 관계를 구축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며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당정 관계에서 소통이 부족했고, 수평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우리 의원들이나 당원 대부분이 인정할 것”이라고 했다.

 

윤 원장은 24일 KBS에서 방영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다. 국민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차기 대통령이) 취임 첫날 당적을 버림으로써 1호 당원이 아닌 1호 국민임을 천명해야 한다”며 “‘국민 대통령’은 이 비정상적인 위기를 바로잡고 즉시 물러나는 ‘3년 대통령’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취임 즉시 거국내각을 구성해 경제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쏟되, 정쟁과 완전히 분리해 협력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백준무 기자 jm10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