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바이든·젤렌스키 한자리에…교황 장례식서 조문외교

입력 : 2025-04-26 20:18:55 수정 : 2025-04-26 23:36: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50여 국가정상·군주 10여명 참석한 대규모 외교행사
우크라이나·중동 분쟁과 관세 갈등 속 악수·대화 나누며 '접촉'
젤렌스키 등장하자 군중에서 박수도

26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경건하게 엄수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는 비공식 대규모 외교의 장이 열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주요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흔치 않은 장면이 연출됐기 때문이다.

 

img
교황 장례미사서 악수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가운데는 알렉산데르 스투프 핀란드 대통령. AP연합뉴스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과 윌리엄 영국 왕세자 등 군주와 왕족도 참석해 웬만한 정상회의보다 규모가 큰 외교 행사로 보일 만했다. 교황청은 이 행사에 국가 원수 50여명과 군주 10여명이 참석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장 주목받은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이었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휴전 협상을 중재하고 관세로 세계 무역에 충격을 주면서 국제 정세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푸른 양복을 입은 트럼프 대통령은 검은 베일을 쓴 가톨릭 신자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귀빈석 맨 앞자리에서 지난 21일 선종한 교황의 관이 성베드로 대성전에서 광장으로 운구되는 모습을 지켜봤다.

 

트럼프 대통령 부부 옆에는 알라르 카리스 에스토니아 대통령이 앉았고, 같은 벤치에는 펠리페 6세 부부도 있었다. 트럼프 부부 옆 벤치에는 마크롱 대통령과 브리지트 여사가 자리했다.

 

러시아의 키이우 공습으로 참석이 불투명했던 젤렌스키 대통령과 올레나 젤렌스키 여사도 참석했다. AP 통신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등장하자 군중이 박수를 보냈다고 전했다.

 

각국 정상들은 우크라이나 분쟁, 기후위기 등 국제 현안을 두고 이견을 내거나 갈등을 겪고 있지만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기 위해 성 베드로 광장에 모였고, 실제로 외교적 대화를 나누며 '조문 외교'를 펼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례 미사에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약 15분간 짧게 회동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X)에서 "좋은 만남이었다"고 밝혔고, 백악관도 회동 사실을 확인하며 "매우 생산적인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장례식 전 성베드로 대성전 안에서 마주 보고 의자에 앉아 대화하는 사진을 공개했다. 두 정상과 마크롱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등 4명이 만나는 사진도 공개됐다.

 

영국과 프랑스는 우크라이나의 전후 안전보장을 위한 비공식 협의체인 '의지의 연합'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종전안을 두고 유럽과 우크라이나가 불만을 제기하는 상황에서 협상의 실마리를 풀어내는 대화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마크롱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의 어깨를 두드리며 격려하는 듯한 모습도 포착됐다.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도 인사했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이 '평화 노력'에 대해 논의했다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우크라이나를 전폭 지원했던 조 바이든 전 미 대통령 부부도 모습을 드러냈다. 장례식장에서 바이든 부부는 트럼프 부부의 자리에서 몇 줄 뒤에 착석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전 대통령, 젤렌스키 대통령이 한 행사에 모인 것은 이례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삼자대면은 성사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과 만날 가능성에 대해 "내 목록에서 높은 순위에 있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트럼프 대통령과 악수하고 추후 회동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두 정상의 첫 만남이다. 유럽과 미국이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세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대신해 올가 류비모바 문화장관이 참석했다.

 

또 다른 주요 분쟁 지역인 중동의 이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에서는 각각 압바스 살레히 문화장관, 야론 시데만 주교황청 대사, 무함마드 무스타파 자치정부 총리를 대표로 보냈다.

 

이밖에 바티칸을 품고 있는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 프란치스코 교황의 모국인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도 장례 미사를 지켜봤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 등도 참석했다. 국가 정상은 아니지만 미국 방첩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 풀려난 위키리크스 창립자 줄리언 어산지도 이날 장례식장에 공개적으로 등장했다고 dpa 통신이 보도했다.

 

한국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 조문사절단이 파견됐다. 오현주 주교황청 한국대사와 안재홍 천주교 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장이 사절단원으로 동행했다.

 

염수정 추기경과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이용훈 주교, 정순택 대주교, 임민균 신부, 최광희 신부 등이 한국 천주교 조문단으로 참석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