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을 대상으로 다음 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과 관련해 대통령실은 정책실장 주재로 통상 관계부처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 모색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일단 약 3주간의 추가 협상 시간이 확보돼 최악은 면했다고 보고 있지만 남은 기간 미국 정부를 설득해 25%의 관세 비율을 낮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긴급대책회의에서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이달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각 부처에 당부했다. 김 실장은 “다행히 현재 시장 반응은 차분하지만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자동차·철강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동시에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하라”고 주문했다.

김 실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한·미 통상장관· 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양·다자회의 계기에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진단하며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실에서 김 실장과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등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김진아 외교부 2차관 등이 참석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과 관련해 “일단 다음 달 1일까지 협상의 시간을 얻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며 “조금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시간이 굉장히 촉박했던 점을 고려하면 관세가 인상되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일본과 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는 관세가 오히려 1%포인트 오른 점을 부각하며 “(협상) 시간이 확보된 만큼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세 협의와 한·미 정상회담 조율 등을 위해 방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마르코 루비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만나 관세 협상 등에 관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루비오 국무장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열고 한·미 관계 발전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다음 달 1일 전까지 양국이 합의를 이루기 위해 소통해나가자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다음 달 1일까지 남은 시간 동안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한 총력전을 펼 계획이다. 김 실장은 우선 위 실장이 귀국하는 대로 정책실과 국가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개최해 관련 상황을 공유 및 점검하고 향후 대응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