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대기업 10곳 중 4곳은 올해 하반기 수출 수익성 악화를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관세 부담 증가가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25년 하반기 수출전망 조사’에 따르면 10대 수출 주력 업종의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50개사가 응답한 결과 38.7%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출 채산성(수출로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반면 수출 채산성 개선을 예상하는 기업은 14%에 그쳤다. 47.3%는 지난해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부품(66.7%), 자동차(53.8%), 일반기계(50%), 석유화학(44%), 철강(40.6%) 등 7개 업종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보다 높았다. 전자부품은 개선·악화 전망 비율이 각 25%로 같았고 반도체(10%), 선박(25%) 2개 업종만 ‘개선’ 응답 비중이 더 높았다.
채산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가 44.8%로 가장 많이 꼽혔다. 수출 경쟁 심화에 따른 단가 하락(34.5%), 인건비 등 운영비 증가(13.8%)가 그 뒤를 이었다.
수출기업의 과반(53.3%)은 하반기 최대 수출 리스크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을 지목했다. 이어 글로벌 저성장에 따른 수요 침체(14%), 미국·중국 통상 갈등 심화(12.7%) 등이었다.
응답 기업의 92%는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가 넘을 경우 감내하기 힘들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한경협은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 달 1일 발효를 발표한 25% 상호관세가 그대로 적용되면 대다수의 수출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율 인상 대응 방안으로 원가절감(33.7%), 수출단가 조정(33.2%), 해외 현지생산 확대(14.7%) 등을 꼽았다. 특별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응답도 14.2%가 나왔다.
관세 등의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주요 수출시장의 경기가 부진하면서 올해 하반기 국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자부품(1.3%), 바이오헬스(1.6%) 등 4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증가하고 철강(-5%), 선박(-2.5%) 등 6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축소될 전망이다.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통상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18.7%), 신규 수출시장 발굴 지원(12.6%)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 관세정책과 글로벌 저성장으로 인한 수요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기업들의 비용 절감 중심의 단기 대응은 한계가 있다”며 “국내 수출기업의 비교우위를 반영한 통상협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제도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