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산 세계유산위 회의, 당장 내년인데…유산청 예산은 ‘0원’”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16 13:00:48 수정 : 2025-10-16 13:00:47
윤선영 기자 sunnyday702@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준비기획단 출범 두 달 이상 늘어져…지자체에 부탁만
정연욱 “예산 없이 실사단 맞을 건가…방안 강구해야”

국가유산청이 내년 7월 부산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예산을 제대로 편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를 유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흡한 준비와 부실 운영 논란으로 국제적 망신을 자초했던 새만금 잼버리 사태가 재현되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민의힘 정연욱 의원. 의원실 제공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연욱 의원실에 따르면 내년 7월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는 196개 협약국 대표단과 유네스코 사무총장 등 약 30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실무진까지 합하면 1만1000명 이상의 부산 방문이 예상된다.

 

이들은 회의에서 세계 문화유산 등재나 세계유산위 기금을 결정하는 등의 논의를 이어간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회의는 길어야 5일 안팎인 다른 국제회의와 달리 기간이 18일에 달한다. 참가자들은 18일간 회의 장소인 부산 벡스코를 중심으로 주변 호텔에 머무르게 돼 경제·문화적 파급 효과도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최초 사례다. 한국은 1988년 세계유산협약에 가입, 1997년 위원국을 수임한 이래 4번째로 수임해 오고 있다. 처음 개최하는 만큼 성공 여부에 따라 문화유산 정책과 외교적 위상이 달라질 수 있지만 준비가 미흡하다는 게 정 의원의 비판이다.

 

당초 유산청은 지난 7월부터 관련 사업 예산 편성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이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유산청은 올해 정부 예산 편성이 없다며 국내외 홍보, 선언문 준비를 위한 연구용역 등의 비용 등을 모두 부산시에 전가했다. 회의 개최 기본 계획 수립 등을 총괄해야 할 준비기획단 역시 당초 7월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두 달이 넘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정 의원은 “예산이 확정돼도 집행 가능한 시기는 내년 1~2월로 예상되는데 유네스코 실사단은 내년 1월과 4월에 방문이 예정돼 있다”며 “실사단 방문 시점까지 예산 한 푼 없이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정 의원은 “국가 행사에 지방자치단체가 임시 예산을 선집행하는 구조는 행사의 위상과 원칙에 맞지 않다”며 “주최 기관인 유산청이 예비비 편성이나 긴급전용 등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피니언

포토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