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동산 잡을 때까지?…한은, 기준금리 3연속 동결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23 10:52:03 수정 : 2025-10-23 13:04:53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3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내놓은 정부의 10·15 대책에 발을 맞춘 결정이다. 최근 1430원대를 오르내리는 불안정한 환율도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끼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어 기존 연 2.50%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성장은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부동산 대책의 수도권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상황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어 현재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올해 2월과 5월 연속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며 완화 기조를 이어갔다. 내수 부진이 길어지고 수출이 둔화하면서 침체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이후 지난 7월부터 속도 조절에 나섰다. 7월과 8월에 이어 이달까지 3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가장 큰 이유는 과열된 부동산 시장으로 꼽힌다. 정부는 6·27 대책에 이어 9·7 대책, 10·15 대책을 잇달아 발표하며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발표된 10·15 대책의 효과를 보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한데, 한은이 현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할 경우 주택담보대출을 오히려 부추기는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부담이 따른다.

 

코스피가 하락 출발한 2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대비 53.65포인트(1.38%) 하락한 3,830.03에 거래되고 있다. 뉴스1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동성을 더 늘려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사실상 이달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암시하기도 했다. 

 

불안정한 환율도 금리 동결 결정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미국과 관세 협상이 지연되면서 환율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낮) 거래 종가는 1431.0원으로, 4월29일(1437.3원) 이후 5개월 반 만에 처음 주간 종가 기준으로 1430원대에 다시 올라섰다. 기획재정부와 한은은 지난 13일 원·달러 환율이 1430원을 넘나들자 “외환당국은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의 쏠림 가능성 등에 경계감을 가지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1년 6개월 만에 구두개입에 나서기도 했다.

 

올해 마지막 금통위 회의는 다음 달 27일로 예정돼있다. 증권가에선 부동산 시장과 환율 안정화 추세가 보이지 않을 경우 다음 달에도 금리 인하는 어려울 것이 전망이 나온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부동산 대책 효과 확인까지는 최소 1∼2개월의 시간이 필요해 11월 금통위는 다소 촉박하다”며 “외환시장이 안정을 찾아도 부동산 경기 대응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연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크게 본다”고 전망했다.


오피니언

포토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
  • 한선화 '코믹연기 기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