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가 정조대왕능행차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축제’가 아닌 ‘콘텐츠’ 전략을 내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28일 화성시에 따르면 전날 수원특례시 팔달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 정책토론회’에는 경기도와 수원·화성시 공무원,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날 토론회는 경기도와 도의회가 마련했다. 허용호 한국민속학회 회장이 발제자로 나서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을 주제로 정조대왕능행차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 정책적 역할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토론자로 나선 조승현 화성시 대변인은 “화성·수원시는 물론 경기도와 서울시까지 함께 정조대왕능행차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콘텐츠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축제라는 ‘포맷’으로만 볼 게 아니라 효(孝)라는 윤리적 가치와 민본(民本)이라는 정치철학의 콘텐츠로 규정하는 게 등재를 위한 최적의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수원시가 1975년 처음 재현한 이 행사는 1996년부터 대규모 행렬로 확대됐다. 2016년 서울시, 2017년 화성시, 2018년에는 경기도까지 능행차 재현에 동참하며 지자체가 합심해 치르는 행사로 거듭났다. 올해에도 경복궁에서 수원화성을 거쳐 화성시 융릉까지 37.4㎞ 구간에서 진행됐다. 능행차에 참여한 인원은 5000명에 달했다.
앞서 지난 4월에는 경기도와 수원·화성시가 협업하는 관련 용역이 발주됐다. 연말까지 이어지는 용역에선 그동안 수원·화성 등 기초지자체가 산발적으로 진행해 온 무형유산 등재 계획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된다.
국내에선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 ‘장(醬) 담그기 문화’까지 23건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올라 있다. 1997년 수원화성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역시 지자체 간 공조로 가능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