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北 무응답도 하나의 응답”
北 최선희 방러 보도… 美 비난 자제
조현 외교부 장관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북·미 회동과 관련해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 계기보다는 그 이후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조 장관은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이번에 당장 북·미 정상의 만남을 성사시키기보다는 북한이 원하는 것을 좀 더 얻으려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 장관은 “2017년, 2018년과 비교해 보면 그동안 북한 입장에서 러시아와 군사동맹을 맺었고, 중국과의 관계도 강화했다”며 “그렇기 때문에 쉽게 말하자면 조금 더 청구서를 키우고 있지 않을까 생각도 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뉴클리어 파워’ 발언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것으로 보느냐는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 질의에 조 장관은 “핵확산금지조약(NPT)상의 핵보유국을 의미하는 뉴클리어 파워라고 한 것이 아니라,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북·미 정상이 만날 가능성에 대해 “열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에이펙 정상회의 주간 시작 직전까지 북·미 회동 성사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정 장관은 이날 “아직까지 북한이 무응답인데 이것도 하나의 응답”이라며 “오늘(28일)이나 내일(29일) 중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정도를 통해 입장 표명이 있지 않을까 내다보고 있다”고 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번이냐 다음이냐, 판문점이냐 평양이냐,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하노이의 트라우마를 딛고 이번에 갈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몇 가지 전략적 지점을 고민하고 있다고 본다”고 추측하며 북·미 회담 자체는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시사했다.
한편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에이펙 정상회의 주간 첫날인 27일 최선희 외무상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예방한 사실을 이날 보도했다. 북·러 관계를 강조하면서도 미국에 대한 비난 수위는 자제해 눈길을 끌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