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장은 박물관 내 신축 '천년미소관'…누각·처마·서까래 한국의 미 돋보여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함께 찾는 국립경주박물관은 천년 신라 문화유산의 보고다.
양국 정상은 정상회담 장소로 '한국의 미'가 응축된 국립경주박물관을 택했다.
경주박물관은 신라의 유산과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구조물 등이 상존한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이자 국보인 '성덕대왕신종'이 이곳에 있다.
'에밀레종'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성덕대왕신종은 묵직하면서도 신비로운 소리로 신라 역사 그 자체로도 평가된다.
한미정상이 그 깊은 울림을 직접 들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03년에 종의 보존 상태를 점검차 진행한 타음(打音) 행사 이후 약 22년 만인 지난달 24일 조사를 위해서만 타종한 바 있어서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2005년 부산 APEC 때 불국사를 방문해 성덕대왕신종을 본떠 만든 범종을 세 차례 타종한 바 있다.
104년 만에 한자리에 모인 신라금관 6점도 한미정상을 맞는다.
경주박물관은 APEC 정상회의와 개관 8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 '신라금관, 권력과 위신'을 진행 중이다.
특별전에서는 가장 오래된 신라 금관으로 평가받는 교동 금관, 서봉총과 금관총, 금령총에서 출토된 금관과 1970년대 잇달아 발견된 천마총과 황남대총 금관 등이 선보인다.
금관들은 1921년 경주 노서동의 한 무덤에서 처음 그 존재를 드러낸 이후 금관과 금 허리띠 각 6점씩 세트로 모두 모인 건 처음이다.
한미정상이 마주 앉을 공간은 한국 전통 건축물의 미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곳이다.
'천년미소관'으로 이름 지어진 회담장은 경주 APEC을 맞아 박물관 마당에 올해 새롭게 조성됐다.
당초 APEC 정상회의 만찬장으로 마련된 이곳은 전통적인 한옥에서 마당이 혼례나 잔치가 열리는 중요한 공간이었던 그 의미를 담아 꾸며졌다.
한옥 형태의 목조구조로 전체적인 외관은 단청 등의 화려함보다는 나무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 정리된 단아함을 표현하고 누각·기단·처마·서까래 등의 전통미를 녹여냈다.
경주박물관은 한미정상회담장으로 낙점된 뒤 보안·경비태세가 강화됐다.
APEC 주간이 시작되며 휴관에 들어간 박물관에는 전날 경찰 및 경호처 관계자 100여명이 현장을 찾아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내부 시설물들을 점검했다.
진입로 양측으로 이중 펜스가 설치됐으며 소방관계자도 비상대기에 들어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서 APEC 기간에 주요국 정상회담장으로 경주박물관을 적극 추천했다.
추천 취지에 대해선 "신라의 금관이나 성덕대왕신종이 있는 경주박물관은 한국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라며 "신라의 유물뿐 아니라 당·서역의 교류 유물까지 전시돼 있어 역사적 상징성과 평화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