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中 관계 복원 시동… 경협 새 장 연다

입력 : 2025-11-02 17:53:25 수정 : 2025-11-02 20:55:57
경주=박영준 기자,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인쇄 메일 url 공유 - +

李·시진핑 첫 정상회담

경제·문화·범죄대응 등 MOU
양국 통화스와프 계약도 연장
한한령 해제 등 민감현안 논의
中, 한화 자회사 제재 철회할 듯
李 페북에 “관계 전면 회복 뜻 깊어”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양자 정상회담을 하고 ‘한·중 관계 전면 복원’을 선언했다. 시 주석의 방한은 2014년 7월 이후 11년 만이다. 2016년 한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계기로 급속도로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가 이번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새로운 전환을 맞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한국과 중국은 경제, 문화, 범죄대응 분야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중 통화스와프 계약도 연장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요청했다.

다시 손잡은 한·중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경북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열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성숙하게 발전시켜 나가는 협력의 플랫폼으로 에이펙을 활용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한·중 관계 전면 복원’을 선언했다. 경주=남정탁 기자

이 대통령은 1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시 주석과 처음으로 마주 앉았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과거 에이펙이 한·중 수교를 촉진하는 소통의 플랫폼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경주 에이펙 계기로 주석님의 국빈 방한은 더욱 뜻깊다”고 인사했다. 이 대통령은 “한·중 간 경제 협력 구조가 수직적인 분업 구조에서 수평적인 협력 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 간의 호혜적인 협력 관계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더 발전해 나가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중·북 간 고위급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는 등 대북 관여의 조건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이러한 양호한 조건을 활용해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해 한·중 양국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도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0월 31일 경북 경주시 라한셀렉트호텔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문화 공연을 관람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2일 페이스북에 “이번 한·중 정상회담은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과 상생의 길로 다시 함께 나아가게 됐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고 썼다.

 

시 주석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이 대통령의 초청에 응해서 11년 만에 다시 국빈 방한하게 돼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이어 “중·한 양국은 이사갈 수 없는 중요한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협력 동반자”라면서 “수교 33년 이래 양국이 사회 제도와 이데올로기적인 차이를 뛰어넘어 각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서로의 성공을 도와주면서 공동 번영을 이뤘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중·한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 언제나 양국 국민들의 근본적인 이익에 부합하고, 시대의 흐름에 순응하는 정확한 선택”이라면서 “중국 측은 중·한 관계를 중시하고, 대(對)한국 정책에 있어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문제를 포함, 한·미가 논의한 핵추진잠수함 도입 문제, 중국의 한화오션 제재, 서해 해양 구조물 문제, 한한령 해제 관련 논의 등 한·중 간 민감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비공개 정상회담에서 북한과의 대화 노력과 관련한 시 주석의 발언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양측은 역시 미·북 대화가 제일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미국 백악관은 1일(현지시간) 미·중 정상 간 무역 합의 팩트시트를 공개하고 중국 해상·물류·조선 산업에 대한 미국의 ‘무역법 301조’ 조사에 보복하기 위해 중국이 시행한 해운 기업 제재 등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이 한화그룹 미국 자회사에 부과한 제재 역시 철회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
  •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
  • 조윤수 '사랑스러운 미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