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 전 ‘우지파동’ 일어난 날 발표…명예 회복
우지 유탕면으로 깊은 풍미 내세워…내수 공략
김정수 부회장 “원가 고민 안해…또 한번 혁신”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제 시아버님이기도 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평생 품은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거의 억울함은 뒤로 하고 앞으로의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겠습니다.”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기름) 라면’을 다시 세상에 내놨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양1963’ 라면 출시를 알렸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한때 금기처럼 여겨졌던 우지는 삼양 라면의 근간을 완성하는 진심의 재료였다”며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이날 삼양1963을 직접 소개하던 중 감정이 북받친 듯 여러 차례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1989년 ‘우지파동’은 삼양식품에 닥쳤던 가장 큰 위기로 꼽힌다. 김 부회장은 “말 그대로 회사가 망할 뻔 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전 명예회장이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한 이후 1980년대 초까지 라면 업계 1위였던 삼양식품은 당시 우지로 튀긴 라면을 생산해왔다. 그런데 36년 전 이날, 공업용 우지로 면을 튀겼다는 익명의 투서가 검찰에 접수되면서 그 유명한 우지파동이 불거졌다. 정부까지 조사에 나서며 삼양식품의 시장 점유율은 급락했고, 1000명 이상의 직원들이 회사를 떠나야 했다. 8년 뒤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이 나왔지만, 그 사이 라면 업계에서 우지는 자취를 감췄고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을 내놓기 전까지 고전을 면치 못했다.
◆ ‘삼양1963, 라면의 귀환’…우지와 팜유, 뭐가 다르길래
 
            
그만큼 이를 갈고 나왔다. 삼양식품은 ‘라면의 귀환’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다. 신제품 발표 장소도 전 명예회장이 라면 개발을 결심했던 장소인 남대문 시장 인근으로 정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 최초의 프리미엄 라면이다. 우지파동 후 현재까지 판매되는 모든 라면은 ‘팜유’로 튀긴 면인데, 그간 생산이 중단된 우지 유탕 라면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했다. 새롭게 관계 형성이 필요한 2030 세대와 우지라면을 기억하는 50대 이상 세대를 주요 타깃으로 잡고 전 세대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데 주안점을 뒀다.
연구 단계부터 ‘맛’을 제일 우선 순위로 삼다 보니 원가도 높게 형성됐다. 원가를 고민하지 말고 맛있게만 만들라는 김 부회장의 주문이 있었다. 마트 정상가 기준 4개입 6150원으로, 1개 1538원꼴이다. 채혜영 삼양 브랜드 부문장은 “팜유는 식물성, 우지는 동물성 기름이다. 기름의 성질 자체는 거의 동일하다”면서 “성질이 동일한데도 가격이 더 비싼 우지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팜유보다 풍미가 훨씬 좋고 감칠맛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팜유와 우지의 원료비만 놓고 봤을 땐 우지가 2배 이상 비싸다”며 “원가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정말 잘 만든, 맛있는 라면을 만들고자 했다”고 부연했다.
 
            
실제 맛은 어떨까.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국물의 농도였다. 숟가락으로 국물을 뜨니 녹진한 느낌의 기름기 띤 국물이 딸려 올라왔다. 마치 국밥을 연상케 했다. 느끼할 것이라는 편견과 달리 맵고 칼칼한 맛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연구개발, 동물성 기름인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적절 비율로 배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냈다고 한다. 우지가 스며들어 면 자체의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높였고, 사골육수 기반의 액상수프와도 조화를 이뤘다. 단배추와 대파, 홍고추 등이 큼직하게 들어간 동결 건조 후첨분말후레이크도 ‘킥’이었다.
윤아리 삼양식품 품질안전부문장은 “일각에선 식물성 유지에 비해 동물성 유지가 더 살이 찐다거나 건강에 좋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며 “그러나 이는 편견일 뿐 사실이 아니다. 모두 1g당 9칼로리로 동일하고, 콜레스테롤 함량도 계란 노른자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 최초 프리미엄 라인…내수 기반 다져 ‘국물’ 1등 노린다
 
            
수십년이 지난 지금 다시 우지라면을 내놓은 이유는 불닭볶음면의 전 세계적인 흥행으로 얻은 자신감에 있다. 최근 유튜브 등에서 우지를 활용한 ‘맛있는’ 라면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커진 점도 한몫했다. 김 부회장은 “삼양식품 내부에 언젠가는 우리가 다시 한번 우지라면을 만들어야겠다는 열망이 늘 존재했다”며 “삼양식품이 K-식품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트렌드도 바뀌면서 이제 출시할 때가 왔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이번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국내 마케팅을 강화해 내수 기반을 공고히 다질 방침이다. 삼양식품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체의 77%로, 국내 매출은 23% 수준에 그쳤다. 그간 불닭 시리즈를 내세워 해외 시장 중심으로 편성됐던 기존 매출 구조를 국내로도 확장, 균형 있는 성장 기반을 다지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향후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채 부문장은 “현재 국물 라면 시장은 정체기다. 정말 특별한 차별점이 아니고서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출시했다. 현 시점에 우지 유탕면만큼 명확한 차별화 제품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한다”며 “잘 만든 라면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1위를 하는 게 우리의 차세대 목표다. 국물 라면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을 가져오겠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