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몬티대한중석은 모기업인 알몬티인더스트리즈가 미국 몬태나주 비버헤드 카운티에 위치한 ‘젠텅-브라운스 레이크 텅스텐 광산’을 인수했다고 3일 밝혔다.
젠텅-브라운스는 미국의 전략 비축 물자를 공급하던 역사적인 텅스텐 광산이었으나 그동안 생산을 중단해왔다. 우리나라 상동광산보다는 다소 작은 규모지만 이미 도로와 용수 등 기반시설이 갖춰져 있어 재개발이 용이하다.
대개 광산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승인 절차와 높은 시설 투자비가 필요하지만 기존 시설을 활용해 생산 시기를 앞당기고 초기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알몬티는 채굴 허가가 나면 스페인 로스 산토스 광산에서 사용 중인 장비를 들여와 2026년 하반기부터 시험 생산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 광산의 텅스텐 생산이 시작되면 미국은 2015년에 중단했던 텅스텐의 국내 생산을 재개하는 셈이다.
루이스 블랙(Lewis Black) 대표는 “젠텅-브라운스 레이크 광산은 미국 내에서 생산 단계로 신속히 전환될 만한 몇 안 되는 광산”이라며 “알몬티는 이번 광산 인수로 독자적인 텅스텐 채굴과 가공 기술을 미국에 도입하는 한편 세계 각지에 소유한 텅스텐 광산을 더욱 늘려 세계 최대 비(非)중국계 텅스텐 공급업체라는 입지를 앞으로 보다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전략핵심 광물의 국제 공급망이 불안정한 이때 미국 내 텅스텐 생산 재개는 미국 기업들이나 미국의 국방에도 더욱 합리적”이라며 “알몬티는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텅스텐 수요를 안정적으로 충족시킬 최적의 위치를 유지하려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알몬티는 포르투갈, 스페인 한국에 텅스텐 광산을 보유하며 한국 영월의 상동 광산은 시험 생산 개시를 앞두고 있다. 젠텅-브라운스 텅스텐 광산에서 생산될 텅스텐 정광은 향후 글로벌 텅스텐&파우더스(GTP), 케나메탈(Kennametal), 버팔로 텅스텐(Buffalo Tungsten)등 미국 주요 텅스텐 후가공 업체에 공급되어 파우더나 카바이드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의 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알몬티가 지난달 말 이번 광산 인수에 사용한 금액은 총 미화 975만 달러(한화 약 136억원)이며 이 가운데 75만 달러(한화 약 10억원)는 현금으로 나머지 900만 달러(약 126억원)는 알몬티인더스트리즈의 자사주로 지급된다.
알몬티는 또한 젠텅-브라운스 레이크 광산에 관련된 공장 인허가, 용수권, 제조 설비 등 주요 인프라를 보유한 현지 비상장 법인의 주식 인수 계약도 체결했다. 인수 금액은 25만 달러(한화 약 3억5000만원)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