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택배 기사 40% “야간작업 개선 필요 없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1-08 07:24:50 수정 : 2025-11-08 13:05:40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
시간 제한보다 ‘주 5일제’ 선호도 더 높아
야간배송하는 이유 ‘소득 높아서’가 46%
국토부, 지난달 1차 회의에서 내용 공유

택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조사에서 10명 중 4명은 야간작업 여건 개선 조치가 필요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주관한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공유했다.

 

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시행한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택배 종사자의 40.3%는 야간작업 개선 조치로 ‘필요 없음’을 택했다. 그 외에 필요 조치는 ‘주 5일 근무제 도입’(35.8%), ‘작업시간 제한’(13.4%), ‘금액 보상’(8.2%) 등으로 집계됐다. ‘새벽배송 금지’에 해당하는 시간 규제가 주 5일제 수요보다 적었던 셈이다. 조사는 택배 기사 87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진행됐다. 

 

야간작업을 하는 택배 종사자 중 야간업무만 고정적으로 수행하는 비중은 64.9%였다. 택배 야간작업 종사자의 69.4%는 특수건강검진을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수건강검진은 사업주가 근로자를 야간작업에 배치할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 그 이후에는 12개월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한국교통연구원 제공

야간배송을 하는 주요 이유로는 ‘주간배송보다 소득이 더 높아서’(45.5%)가 가장 높았다. 그 외에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23.9%), ‘교통체증을 피할 수 있어서’(22.4%), ‘주간에 다른 일을 할 수 있어서’(5.2%) 순이었다.  

 

조사에서 택배 종사자들의 업무 만족도는 ‘보통’∼‘매우 만족’이 90.9%로 높게 나타났다. ‘매우 불만족’과 ‘불만족’을 합한 비율은 11.0%에 불과했다. 또 90.9%는 지금 종사하고 있는 택배서비스업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지속하기를 원하며, 2.9%만이 곧 그만둘 예정이라고 했다. 

 

이 결과는 국토부가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 공유한 것이다. 택배 노동자들의 근무 환경 개선을 논의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에는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더불어민주당, 노동계, 쿠팡·컬리 등 주요 업체가 참여한다. 지난달 22일 1차 회의에서 민주노총 측이 새벽배송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노총과 달리 한국노총은 새벽배송 금지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야간노동 규제는 필요하지만 새벽배송 제도를 전면 금지하기엔 이르다는 입장이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새벽배송이 야간노동에 속하긴 하지만, 배송 규제는 단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찬반을 정해야 한다면 폐지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에 속하지 않은 택배 기사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쿠팡 위탁 택배 기사 약 1만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는 최근 새벽배송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긴급 설문을 공개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설문에서 93%는 새벽 배송 금지에 반대했다. 

 

2023년 민주노총을 탈퇴한 쿠팡노조도 전날 반발 성명을 냈다. 쿠팡의 직고용 배송기사들이 모인 쿠팡노조는 새벽배송 금지 추진에 대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으로 보인다”며 “대다수 야간배송 기사들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민주노총만이 이를 고수하는 것은 그들 조합 내 야간 배송기사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오피니언

포토

54세 고현정, 여대생 미모…압도적 청순미
  • 54세 고현정, 여대생 미모…압도적 청순미
  • 하지원 '수줍은 손하트'
  • 전종서 '순백의 여신'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