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해체 절차·관리 곳곳 구멍… ‘위험의 외주화’ 도마

입력 : 2025-11-13 18:50:49 수정 : 2025-11-13 18:50:48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울산火電 붕괴 원인 규명 관심

4·5·6호기 ‘안전관리 계획서’ 분석
노후도·부식 등 안정 상태 미반영
공작물 분류된 타워도 중요 쟁점
동서발전·HJ중공업, 첫 공식 사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5호기) 붕괴 사고 수색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가운데 당시의 해체 절차 안전관리 체계 등 구체적인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도 본격화하고 있다.

13일 세계일보가 확보한 ‘울산기력 4·5·6호기 해체·안전관리 계획서’ 등에 따르면 해체공사의 기초가 되는 계획 단계부터 현장 조사, 취약화 설계, 감리 체계까지 전 과정에서 허점이 존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보일러 타워가 건축물이 아닌 ‘공작물’로 분류되면서 관리감독의 사각지대가 발생한 점도 주요 쟁점이다.

지난 12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 구조대원들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해체 계획서에는 필수적으로 포함돼야 할 노후도 조사나 타워별 부식 정도 분석이 빠져 있다. 기존 구조물이 수십년간 해안가 환경에 노출돼 온 만큼 부식 여부가 타워 안정성 판단의 핵심 배경이다. 하지만 해당 계획서는 주변 교통·인접 구조물 등 원론적인 내용만 담겨 있다. 해체 계획 단계부터 타워 구조물의 안정 상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해체 계획서 작성 비용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520억원 규모의 발전소 보일러 타워 해체공사의 안전계획서의 작성 비용은 3000만원으로 비중이 작다. 이 정도 예산으로 현장 조사가 충분히 이뤄졌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는 ‘취약화 작업’ 역시 수사 등을 통해 밝혀야 할 문제다. 취약화는 발파 전 구조물의 하부 기둥을 부분 절단해 하중을 약화시키는 과정이다. 절단 범위가 과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또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내부에서 방호망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방호 작업은 원칙적으로 외부 장비를 활용해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위험의 외주화’도 거론된다. 기술시방서에는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의 계약 상대 업체가 안전·환경·공정·화재 예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철거 과정의 안전관리 체계, 위험성 평가 이행 여부 등 전반적으로 수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붕괴 사고 8일째인 13일 오후 4시 기준 매몰자 7명 중 6명이 사망한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나머지 1명은 잔해 속에 남아 있다. 소방당국은 24시간 구조체제를 유지하며 마무리 수색을 하고 있다.

13일 오전 한국동서발전 권명호 사장(오른쪽 세번째)과 임원진이 발전소 후문 앞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사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인 HJ중공업은 이날 처음 공식 사과했다.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은 사고 현장 앞에서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며 “관계 기관 수사·조사 결과에 따라 감당할 부분은 감당하겠다”고 밝혔다. 김완석 HJ중공업 대표이사는 “평생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게 되신 유가족 여러분께 뼈를 깎는 심정으로 사죄 드린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