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반년 사이 코스피 급등세에 힘입어 국내 시가총액 10조원 이상 종목 수가 사상 최다인 61개로 늘어났다.
16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14일 종가 기준 ‘시총 10조 클럽’은 총 61개로 집계됐다. 코스닥 기업은 알테오젠(29조6000억원), 에코프로비엠(14조7000억원), 에코프로(12조2000억원) 등 3개이며, 나머지 58개는 모두 유가증권시장 소속이었다.
코스피 불장이 본격화하기 전인 5월 말 기준 시총 10조 클럽은 47개에 불과했다. 당시 코스닥 시장에서는 알테오젠만 기준선을 넘겼는데 이후 6개월이 채 되지 않은 기간에 14개 기업이 새로 생겨난 것이다. 시가총액 100조원을 넘는 기업군에도 삼성전자(575조4000억원), SK하이닉스(407조7000억원)에 더해 LG에너지솔루션(108조3000억원)이 추가로 합류했다.
시총 10조원을 넘어선 종목들은 하반기 들어 대거 등장했다. 효성중공업(약 19조8000억원), 포스코퓨처엠(약 18조6000억원), HD현대(약 17조원)를 비롯해 삼성전기(약 15조9000억원), 에코프로비엠(약 14조7000억원), 한미반도체(약 12조원), 한국항공우주(약 10조원) 등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 유한양행(9조9961억원), 삼양식품(9조9436억원) 등도 10조원대 진입을 노리고 있다.
다만 같은 기간 코스피 시가총액이 2211조원에서 3299조원으로 49.2% 급증한 점을 감안하면 10조 클럽 기업의 증가 수가 많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이는 소수 대형주가 시장을 이끈 결과로 분석된다. 이 기간 전체 시총 증가분(약 1088조원)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46.1%(약 502조원)로 절반에 육박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제주 해변이 ‘신종 마약 루트’?](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503.jpg
)
![[기자가만난세상] 김포를 바꾼 애기봉 별다방 1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26/128/20250626518698.jpg
)
![[삶과문화] 김낙수와 유만수는 왜 불행한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09/128/20251009511351.jpg
)
![[박일호의미술여행] 로코코 미술과 낭만주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31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