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발견 승조원 산화자 처리 軍에 요청”
![]() |
백령도로 향하는 가족대표 경기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에 있는 천안함 실종자 가족 대표들이 함체 인양 작업을 지켜보기 위해 14일 백령도로 향하는 헬기에 오르고 있다. 해군 제공 |
이정국 가족협의회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배가 두 동강 난 원인은 (확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폭발에 의한 것이 분명하다”며 “이 때문에 당시 폭발 지점에 있던 장병의 귀환은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표는 “실종자 가족회의에서 피폭 지점에 있던 장병을 산화자로 처리하기로 결정했다”며 “산화자 문제와 관련, 가족 결정을 군에 통보했고 군에서 전례 등을 검토해 알려주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실종자 가족들은 함미 인양 후 곧바로 장례를 치르지 않고 별도 조사를 벌인 뒤 함미에 실종자가 있으면 전사자로, 없으면 산화자로 처리키로 하는 데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족협의회는 TV를 통해 공개된 절단면을 분석한 결과 함미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 실종자 44명 중 7∼10명이 피폭 지점에서 산화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또 절단면과 가까운 기관조종실이 심하게 파괴됐다면 가스터빈실에도 큰 충격이 미쳤을 것으로 추정돼 이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승조원도 찾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 대표는 인양 후에도 발견되지 않는 실종자에 대한 수색작업과 관련해 “모든 가족 동의가 끝나면 요청하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실종자 가족 중 1명이라도 동의하지 않으면 수색 중단을 요청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그는 희생자 장례문제에 대해서는 “함미 인양 후에 명확한 사고 원인과 장병에 대한 예우가 결정됐을 때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전문가들이 ‘잠정적인 결론을 내는 데 48시간이 안 걸린다’고 얘기하므로 (48시간을) 기다려 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