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자체 인물 기념사업 이념논쟁 ‘몸살’

입력 : 2013-07-05 00:51:14 수정 : 2013-07-05 00:51: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중구 박정희공원 조성 추진계획 예산낭비 지적 난항
도봉구선 함석헌·워커 추모사업 놓고 보혁대립 양상
종로 윤동주문학관 등 문화예술인 관련 사업은 순조
지난해 7월 25일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에 들어선 윤동주문학관은 청운공원 일대에 90㎡ 정도의 수도가압장 등 사용하지 않는 시설을 활용해 건립됐다.

현재까지 윤동주문학관 방문객은 6만5000여명이다. 하루 평균 230명 정도가 찾았다. 자하문 언덕이라는 비교적 한적한 곳에 들어선 문학관이지만 제법 많은 이들이 찾은 셈이다. 대표적인 민족시인이었기에 건립 전후 큰 논란 없이 시민들이 찾는 명소가 되고 있다.

윤동주문학관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해 만든 기념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윤동주문학관은 시인이 근처에서 하숙을 하며 민족의 마음을 대변하는 주옥같은 시를 남겼다는 점을 고려해 종로구가 추진한 것이었다.

서울 종로구 청운공원에 들어선 ‘윤동주기념관’의 모습.
윤동주문학관처럼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연고 인물의 기념관을 설립하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원활하게 운영 중인 강서구의 겸재정선기념관을 비롯해 마포구의 산악인 박영석기념관·도봉구의 시인 김수영기념관 건립 등 문화예술인 관련 사업은 순조롭게 풀리고 있다. 하지만 정치인이나 군인들을 기념하는 사업은 논란에 휩싸여 갈등양상마저 보이고 있다.

최근 불거진 중구의 박정희공원 조성과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도봉구의 함석헌기념관 및 워커기념관 건립 건이 대표적인 사례다. 예산낭비라는 지적에 부분적인 이념논쟁이 덧칠해진 상황이다. 지역의 여론을 수렴하지 않는 급속한 추진도 갈등의 한 원인이 됐다.

중구는 지난달 초 박정희공원 추진 방침을 밝혔다가 안팎의 논란에 직면했다. 논란 직후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회의에서 “국민 세금으로 기념공원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지만 중구는 추진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구는 “박 전 대통령 가옥이 있어 가칭 ‘박정희공원’일 뿐 실질적으로 녹지 공간과 주차공간을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시 시설과 공원 조성에만 302억원이 들어 예산 낭비라는 지적 속에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공원을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사업은 내년으로 미뤄진다. 중구 관계자는 “시비를 받아 사업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여건상 시비 지급이 힘들어 사업 추진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봉구에서는 최근 연말에 착공해 내년 중 완공하기로 한 함석헌기념관을 둘러싸고 일부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신창용 도봉구의원은 “함석헌기념관을 세우기에 앞서 월턴 워커 장군의 역할을 추모하는 공간이 들어서야 했다”며 “함석헌기념관은 매입해 리모델링하는 데에만 20억원이 들지만, 워커 장군 전사지 매입 비용은 1억원도 들지 않았는데, 당을 떠나 전·현직 구청장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미8군 초대사령관이었던 워커 장군은 6·25전쟁이 발발한 1950년 도봉동에서 전사했다. 도봉구는 이를 기려 2009년 12월 표지석을 세웠지만, 이후 일련의 추모관련 행사가 부실했다는 게 신 의원 등 새누리당 의원들의 지적이다.

박종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