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등록된 발달장애인은 21만855명이다. 이 가운데 학령기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및 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19세 미만 발달장애인은 27.5%(5만8065명)에 불과하다.
주간보호시설은 558곳, 보호작업장 등 직업재활시설은 560곳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설의 프로그램당 정원은 10명 안팎으로 포화상태다. 성인이 된 발달장애인의 20%가 채 안 되는 2만3000여명만이 복지시설을 이용한다. 나머지 80%는 갈 곳이 없다. 성인이 되면 18세 이전까지 지급됐던 발달지원서비스 보조금마저 끊긴다. 교육과 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발달장애인의 상태는 1~2년 사이 초등학교 입학 이전으로 돌아간다. 나이 든 부모에게는 신체적·정신적·경제적 부담이 더 커진다.
발달장애인이 있는 가정의 해체율은 일반가정보다 훨씬 높은 데다 파괴적이다. 자녀를 방치하거나 학대하고,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김미옥 전북대 교수(사회복지학)는 “발달장애인이 시설을 나와 지역사회 속에서 자립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