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예측불가 날씨 우려도”

다음 달부터 내년 1월까지의 기온은 전체적으로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일시적으로 기온이 뚝 떨어지는 등 기온의 변동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3개월(11월∼내년 1월) 월별 전망’을 26일 발표하고 늦가을인 11월(7.0~8.2도)과 초겨울인 12월(1.0~2.0도) 기온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고 1월(-1.6~-0.4도) 역시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이라고 예측했다.
월별로 보면 11월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날이 많고 북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다소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다고 내다봤다.
12월은 찬 공기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의 변화가 클 것으로 보인다. 또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이번 여름 긴 장마처럼 예상치 못한 날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장기간 특이 기압계 출현이나 예측 불가능한 블로킹(고위도 지역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흐름을 막는 온난고기압)의 발생, 서태평양의 대류 변화 등이 그 요인이 될 수 있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