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도급업체에 200여건이 넘는 기술자료를 요구하면서 요구 서면을 교부하지 않은 현대로템㈜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공정위는 45개 중소 하도급업체에 210건의 기술자료를 요구하면서 요구 목적 등이 기재된 요구 서면을 교부하지 않은 현대로템㈜에게 시정명령 및 과징금 1600만원 부과를 결정했다고 8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2014년 4월부터 2018년 6월까지 45개 중소업체에게 구두 또는 전자메일을 통해 철도차량 및 자동차 생산설비 관련 부품 도면 등 기술자료 210건을 요구하면서 사전에 권리 귀속 관계, 비밀유지 사항, 대가 등을 정한 서면을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도급법은 원사업자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기술자료를 요구할 수 있고, 그 경우에도 반드시 △기술자료 명칭·범위 △요구목적 △비밀 유지 방법 △기술자료 권리 귀속 관계 △대가 및 대가의 지급 방법 △요구일·제공일·제공방법 △요구가 정당함을 입증할 수 있는 내용 등 7개 항목이 기재된 서면을 제공하도록 정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다만 현대로템㈜의 기술자료 유용 사실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원사업자의 기술자료 요구서 제공 의무는 요구 목적, 대가, 권리 귀속관계 등 수급사업자의 기술 보호를 위해 지켜져야 할 핵심 사항을 사전에 명확히 해 정당한 이유 없는 자료 요구 및 원사업자의 자의적 해석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기술유용 행위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절차적 의무”라며 “공정위는 기술자료 요구서 제도가 업계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요구서 미제공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여 적발 시 엄중히 제재하고, 제도 홍보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