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이 사회생활 적응 교육

전남 여수에 사는 심모(60)씨 부부는 지난 2월 광주로 이사를 왔다. 심씨 부부는 29세의 최중증 발달장애인(지적장애 1급) 아들을 두고 있다. 심씨 부부는 ‘아이 아닌 아이’인 발달장애인 아들 양육에 지치고 힘에 부쳤다. 도전적 행동을 하는 아들은 시설 등에 맡겨봤지만 몇 개월 만에 쫓겨나기 일쑤였다. 아들을 돌보는 일은 고스란히 심씨 부부의 몫이었다. 결국 일상이 무너진 심씨 부부는 우울증과 불안 증세로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
심씨 부부는 광주에서 발달장애인 아들을 24시간 돌본다는 얘기를 듣고 곧바로 이사를 결심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융합 돌봄센터에 아들을 맡겼다. 아들은 일대일 지원과 함께 24시간 돌봄을 받게 됐다. 심씨의 아들은 돌봄센터에서 지내면서 많이 변했다. 활짝 웃기도 하고 케이크 만들기, 볼링, 그림 그리기 등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심씨는 “아이가 변화하면서 앞으로 더 변하고, 행복해질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됐다”고 말했다.
전국 최초로 문을 연 광주의 최중증 발달장애인 융합 돌봄센터(사진)가 주목을 받고 있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돌봄센터는 주간에는 센터에서 정서 여가 활동과 함께 사회적응, 일상생활, 인지 학습 훈련을 주간에 하고 다음날 오전까지는 지원 주택에서 생활한다. 특수교사와 사회복지사 등 전문 인력의 도움을 받는다.
주말·휴일에도 돌봄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발달장애인과 가족이 원할 경우 주 1회 또는 월 1회 가정으로 돌아가 지낼 수 있다. 심씨는 “이제 시작인 최중증 발달장애인 융합 돌봄이 시설, 정원을 늘리고 국가와 지자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소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