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전기·전자 부문 등 유출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1/09/19/20210919504790.jpg)
국가정보원은 3일 지난 5년간 산업기술 해외 유출 사건을 적발한 결과, 22조원대 피해를 예방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 2월까지 적발된 산업기술 해외 유출 사건은 모두 99건이었다. 이 중 34건은 국가안보와 국민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 핵심기술’ 사건이었다고 설명했다. 기술 유출 주요 분야는 반도체,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 등 한국의 주요 산업들로 조사됐다. 피해집단별로는 중소기업(59건)이 가장 많았고, 대기업(32건), 대학·연구소 순(8건)으로 나타났다.
기술탈취세력은 주로 보안시스템이 잘 구축된 대기업보다는 핵심 협력업체를 공략해 기술을 빼내거나 중소기업의 취약한 보안관리를 악용했다. 또 산학협력·기술컨설팅을 빙자해 기술을 유출하는 등 다양한 우회수법이 이용되고 있었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 분위기에 산업기술 국외 위협이 날로 커지고 있는데 해커들까지 가세해 국내 기업·기관 원격접속 서버 정보를 다크웹에 유포하는 등 해킹을 통한 기밀 절취, 랜섬웨어 공격 등이 감행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정원은 “기술 보호의 국가안보 차원 대응 필요성이 높아진 만큼 기업과 연구소는 물론, 관계부처와 안보기관 등의 유기적 협력이 더 중요해졌다”며 “유관기관과 공조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