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금 전셋값이면 5년 전 아파트 사고 남았다… 文정부 이후 급등 반증

입력 : 2022-05-09 19:26:01 수정 : 2022-05-09 19:26: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17년초 3억2000만원 집 구매
현재는 전셋값이 3억4000만원

서울 아파트 신규건 전세보증금
갱신에 비해 1억5000만원 비싸
지난 8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금 전셋값이면, 5년 전에는 아파트를 사고도 2000만원이 남을 정도로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집값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KB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3억4041만원으로 집계됐다. 문재인정부 출범 직전(2017년 4월) 아파트 평균 매매가(3억2008만원)보다 2000만원 이상 높은 액수다. 전셋값도 꾸준히 올랐지만, 집값이 그만큼 가파르게 오른 영향이다.

지난 5년간 평균 아파트값은 3억2008만원에서 5억6045만원으로 2억4037만원 올랐고, 같은 기간 평균 아파트 전세값은 2억3813만원에서 3억4041만원으로 1억228만원 상승했다.

수도권은 주거비 부담이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2017년 4월 4억838만원이었던 수도권 평균 아파트값은 지난달 8억735만원으로 거의 2배가 됐다. 평균 아파트 전셋값도 3억446만원에서 4억6759만원으로 급등했다. 5년 전 아파트 매매가격에 거의 6000만원을 보태야 겨우 전세를 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값이 같은 기간 6억215만원에서 12억7722만원으로 두 배 넘게 치솟았다. 경기 평균 아파트값은 3억2189만원에서 6억2275만원으로, 인천은 2억5957만원에서 4억6610만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2020년 7월 말 시행된 임대차법(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신규계약의 전세보증금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쓴 계약보다 평균 1억5000만원 이상 비싸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부동산R114가 지난해 6월 1일부터 올해 3월 말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을 분석한 결과, 동일 단지 같은 면적에서 신규와 갱신 계약이 동시에 확인된 사례는 6781건이었다. 이 중 신규 계약의 평균 보증금은 6억7321만원, 갱신 계약은 5억1861만원이었다. 같은 단지의 같은 면적 아파트 전세를 구하는 데 신규 계약자는 갱신 계약자에 비해 1억5461만원 높은 보증금을 낸 것이다.

전문가들은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2년이 되는 올해 7월 말부터 갱신권이 소진된 신규계약 물건이 나오면서 임차인의 보증금과 임대료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갱신권 적용 시 5%로 인상률이 제한되지만 신규 계약은 시세 수준으로 전셋값을 올릴 수 있어서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