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文정부 정치인 출신 장관 中 '전해철·황희·권칠승' 당분간 남는다

입력 : 2022-05-09 20:03:49 수정 : 2022-05-09 20:03: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교육·법무·통일 장관 사표 수리…환경은 후임자 정해져
재임 기간, 尹정부와의 껄끄러운 관계 등 고려된 듯
김 총리, 추경호 등 일부 장관 임명제청 후 12일 이임식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퇴임 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정부 임기 종료와 함께 일괄 사의를 밝힌 더불어민주당 출신 장관 7명 중 3명은 당분간 윤석열 정부와 불편한 동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날인 9일 오후 5시 20분께 유은혜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박범계 법무부 장관, 이인영 통일부 장관 면직안을 재가했다.

 

당초 정치인 출신 장관 7명은 문재인 정부 임기 종료에 맞춰 일괄 사퇴하기로 뜻을 모았다.

 

그러나 한덕수 국무총리와 일부 장관들의 인사청문회가 난항을 겪으면서 새 정부 출범 후 국무회의 개의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일부 장관들이 잔류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국무회의 성원을 위해서는 최소 15명의 장관들이 자리해야 하는데, 현재 전체 장관 18명 중 정치인 출신 장관 7명이 일괄사퇴 할 경우 11명만이 남는다. 산술적으로 최소 4명의 정치인 장관이 남아야 하는 셈이다.

 

이중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국회가 한화진 환경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에 합의한 만큼 장관 자리를 채우고 물러난다고 하더라도 남은 6개 부처(교육부, 행안부, 중기부, 통일부, 문체부, 법무부) 장관들 중 최소 3명은 새 정부에서도 장관 신분을 유지해야 했다.

 

사표가 먼저 수리된 장관들은 재임 기간과 새 정부와의 껄끄러운 관계 등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유은혜 장관은 1316일을 재임하며 역대 최장수 장관의 기록을 갖고 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경우 검찰개혁을 놓고 검찰과 날을 세워왔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와 정반대의 대북정책 기조가 들어설 것으로 보이는 새 정부에 남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석열 정부의 첫 국무회의가 이르면 12일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는 11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해 여야가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에 합의한 일부 장관들에 대한 임명제청권을 행사하고, 12일 오전 이임식을 통해 자리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