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세대 메모리 선도하는 삼성전자, 고용량 512GB CXL D램 첫 개발

입력 : 2022-05-11 01:00:00 수정 : 2022-05-10 20:11:33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존 제품보다 용량 4배 높여
“AI·빅데이터 서비스 향상될 것”

삼성전자가 차세대 D램으로 불리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ompute Express Link·CXL) 기반 512GB(기가바이트) D램(사진)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앞서 지난해 5월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번에는 최초로 고용량 512GB CXL D램을 선보였다.

기존 대비 메모리 용량을 4배 향상한 512GB CXL D램은 주문형 반도체(ASIC) 기반의 컨트롤러가 탑재돼 데이터 지연 시간이 기존 제품의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또 PCIe(고속 입출력 인터페이스) 5.0을 지원하며, 대용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적용되는 EDSFF(Enterprise & Data Center SSD Form Factor)를 담았다. 이를 통해 기존 컴퓨팅 시스템의 D램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번 고용량 CXL D램을 적용하면 메인 D램과 더불어 서버 한 대당 메모리 용량을 수십 테라바이트(TB·1TB는 1024GB)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고 데이터 처리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기존의 DDR 인터페이스로는 시스템에 탑재할 수 있는 D램 용량에 한계가 있어 CXL D램과 같은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신사업기획팀 상무는 “CXL D램 개발로 AI, 빅데이터 등의 서비스 품질이 혁신적으로 향상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CXL 메모리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해 갈 수 있도록 고객, 파트너들과 함께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고, CXL 메모리 솔루션을 확대해 차세대 메모리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콕스 몬타지 테크놀로지(Montage Technology) 전략기술 담당 부사장은 “CXL은 메모리 확장과 공유를 최적화하는 핵심 기술이며, 차세대 서버 플랫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몬타지는 삼성과 함께 CXL 메모리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